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2차 북미정상회담의 시기와 관련, "11월 6일 중간선거 이후 열리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아이오와주에서 열리는 중간선거 지원 유세를 위해 전용기 에어포스원을 타고 가는 도중 기자들에게 "중간선거 이후가 될 것이다. 지금 당장은 갈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정상회담 일정을 조율하기에는 선거유세가 너무 바쁘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앞서 백악관에서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 대사의 '연내 사임'을 밝힌 자리에서 1차 정상회담 장소인 싱가포르가 "환상적"이었지만, 2차 정상회담은 "아마도 다른 장소에서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3∼4곳의 다른 장소들을 놓고 이야기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이 미국에서 열릴 가능성도 있느냐는 질문에 "나는 결국에는(eventually) 미국 땅에서 그리고 그들의 땅에서 많은 회담을 하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쌍방향인 만큼, 그들의 땅에서도 역시 (회담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북 제재에 대해서는 "나는 그것들(제재)을 해제하고 싶다. 하지만 그러려면 우리는 무언가를 얻어야 한다"며 제재 완화를 위한 북한의 '플러스알파'(+α)가 있어야 한다는 점을 내비쳤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주한미군의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 시스템을 미국에 배치하라고 지시한 적이 있다는 사실도 공개 인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아이오와 주 카운실블러프스에서 열린 공화당 중간선거 지원 유세 연설을 통해 "우리가 엄청나게 부자인 나라(한국)를 보호하기 위해 10억 달러(약 1조 원)가 드는 시스템을 배치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사드 배치 논란에 관한 트럼프 대통령의 유세 발언은 '워터게이트' 특종기자 밥우드워드의 신간 '공포:백악관의 트럼프'에 적힌 내용과 거의 일치한다. 이 책은 트럼프 대통령이 허버트 맥매스터 당시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과 사드 비용 문제로 대화하다가 "(주한미군) 사드를 철수시키고 포틀랜드에 배치하라"고 요구한 적이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유세에서 "우리는 한국을 좋아한다"면서도 주한미군 숫자를 언급한 뒤 "그들은 돈을 내지 않는다"며 사실과 다른 '안보 무임승차론'을 또다시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