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중 지방정부 '미세먼지 저감' 등 환경보호 협력하기로 공동선언, 대구시 제안 영향

최근 '제2회 한·중지사성장회의'서 권영진 대구시장 "대기·수질오염, 정책으로 극복" 발표

지난 26~28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지난 26~28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제2회 한·중지사성장회의'에서 양국 지방정부가 공동선언문을 발표하고 환경보호협력 등을 강화하기로 했다. 회의에서 권영진 대구시장은 '숨·물·숲의 도시 대구'라는 제목의 환경오염 개선 사례를 발표했다. 대구시 제공

한·중 지방정부가 환경보호 협력을 강화한다는 내용의 공동선언문을 발표하고 미세먼지 저감 등 대기질·수질 개선에 손을 맞잡기로 했다. 대구시가 소개한 기후환경분야 문제 해결방안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지난 26~28일 중국 베이징에서 '제2회 한·중지사성장회의'가 열렸다. 한·중지사성장회의는 두 국가의 지방정부 교류 차원에서 2년마다 양국에서 번갈아 여는 행사로, 2016년 인천 송도에서 처음 개최한 뒤 이번 베이징에서 두 번째로 열렸다.

한국에서는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를 비롯해 서울, 세종, 충남, 전남, 제주 등 7개 광역단체장이 참석했고 중국에서도 베이징시를 비롯한 12개 시·성장이 참석했다.

회의에서 양국 지방정부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꾀하고 대기질을 개선하며 기후변화에 함께 대응한다는 내용 등을 담은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선언문에 따르면 양국 지방정부는 ▷환경보호협력 강화 ▷관광협력 추진 ▷교육연수, 심포지엄 등 인문교류 기초 닦기에 동참한다. 공동선언에 따라 2020년 한국에서 '제3회 한·중지사성장회의'도 열 계획이다.

특히 환경보호협력 강화 항목에는 권영진 대구시장이 27일 회의 중 '숨·물·숲의 도시 대구'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환경문제 해결사례가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대구가 섬유패션 중심의 노동집약형 산업에서 ICT 기반 친환경 첨단도시로 무게중심을 옮긴 과정을 소개하면서 정책적으로 대기오염, 수질오염을 극복한 사례를 알린 것이다.

발표에서 권 시장은 "대구는 과거 낙동강 페놀 사태로 닥친 수질오염 위기를 수처리기술 강화로 극복했다. 도시 중심부의 노후산단으로 인해 악화한 대기질도 노후산단 재생사업, 배출물질 저감장치 설치 등으로 극복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밖에 ▷물없는 컬러(섬유염색)산업 육성 ▷천만 그루 나무 심기 ▷전기차 보급 및 충전시설 확충 등으로 대기질·수질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소개했다.

국제 대기·수질오염 주요 유발원으로 꼽히는 중국의 지방정부에 있어 이런 주제는 민감한 내용이다. 그럼에도 대구시는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음을 강조해 호평을 받았다. 양국 지방정부가 대기질 개선에 힘쓰기로 선언한 만큼, 대구시는 중국발 미세먼지가 줄어드는 데도 긍정적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이번 공동선언에 따라 대구·중국 지방정부 간 협력을 확대하는 것은 물론 변화하는 기후와 환경오염에도 적극 대응하고, 대구 기업의 중국 진출도 활성화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지난 26~28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지난 26~28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제2회 한·중지사성장회의'에서 양국 지방정부가 공동선언문을 발표하고 환경보호협력 등을 강화하기로 했다. 회의에 참석한 양국 19개 시·도지사와 시·성장 및 회의 관계자 모습. 대구시 제공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