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야권 "환경부 블랙리스트, '낙하산 투하' 사전작업 의심" 총공세

"박천규 환경차관, 기조실장 때 환경공단 이사장에 사표 종용"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가 28일 국회에서 열린 청와대 특별감찰반 진상조사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가 28일 국회에서 열린 청와대 특별감찰반 진상조사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야권이 환경부가 작성한 '산하기관 임원들의 사퇴 등 관련 동향' 문건을 두고 '블랙리스트' 의혹을 부각하며 총공세를 펼치고 있다.

전수조사를 비롯해 국정조사와 특별검사 수사 추진을 사실상 공식화하는 등 압박 수위를 높이면서 정부 차원의 광범위한 블랙리스트 작성 의혹으로 확산되는 모양새다.

'청와대 특별감찰반 의혹 진상조사단' 단장인 김도읍 의원은 28일 국회에서 열린 진상조사단 회의에서 일명 '환경부 블랙리스트'의 피해자라고 주장한 당사자와 통화내용을 공개하며 "블랙리스트 작성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사표를 종용했던 사람이 당시 환경부 기조실장이던 박천규 환경부 차관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분 말에 의하면 (다른 피해자인) 전병성 당시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은 사표를 쓰기 싫어했지만, 기조실장이 이야기하니 사표가 쓸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고 전했다.

그는 또 "김태우 수사관이 첩보 활동 과정에서 비위가 있었다고 해도 그대로 감찰, 징계 절차를 밟으면 된다"며 "민간인 불법사찰 문제와 개인비리는 분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른미래당도 '낙하산 투하' 사전작업이라며 전수조사를 촉구, 파장이 커지고 있다.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이날 "소위 환경부 블랙리스트는 산하기관장 사퇴 동향을 특정화해 문건화했다는 자체만으로 현 정부의 주특기인 '내 사람 챙기기', '낙하산 투하'의 사전작업이란 의심을 받기 충분하다"고 일갈했다.

김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같이 밝히며 "정부의 이러한 '인사 찍어내기'를 위한 리스트 작성이 환경부에만 그쳤을까 하는 데 그 문제의 핵심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블랙리스트 작성은 명백한 범죄이자 정치 보복"이라며 "청와대는 환경부 블랙리스트 사건의 전모는 물론이고 다른 부처에 이런 유사한 블랙리스트가 있었는지 전수 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이어 "청와대는 김태우 전 특감반원의 개인행동이라며 또다시 꼬리 자르기를 시도하고 있는데 어느 국민이 믿겠느냐"라며 "일개 특감반원이 블랙리스트 작성을 지시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는지 납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공공기관 채용비리 국정조사계획서 처리 지연에 서울시를 보호하려는 민주당과 강원랜드를 보호하려는 한국당의 짬짜미가 우려된다"며 "바른미래당이 반드시 국조계획서 승인을 이끌어내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26일 열린 진상조사단 회의에서 김용남 전 의원이 공개한 '환경부 산하기관 임원들의 사퇴 등 관련 동향' 문건에 따르면 환경공단 전 이사장은 임기가 2019년 7월로 돼 있고, '사표제출 예정'이라고 현황이 기록돼 있다.

'환경부 산하기관(8곳) 임원들의 사퇴 등 관련 동향'이라는 제목의 이 문건은 특히 "한국환경공단 외에는 특별한 동요나 반발 없이 사퇴 등 진행 중"이라는 총평도 담고 있다.

한국당이 공개한 문건의 인사 기록에 따르면 환경공단 전모 전 이사장은 2019년 7월까지인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이달 퇴직했고, 문건에 '새누리당 출신-반발' 이라고 표기된 김모 전 상임감사도 올해 9월까지가 임기였으나 4월에 퇴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