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사립유치원 91곳 개학 연기…파장 예상

교육청, 개학 연기 유치원에 시정 명령·고발 조치 예고

사립유치원 개학연기 사태에 용인시 학부모 100여명이 3일 오후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사립유치원 개학연기 사태에 용인시 학부모 100여명이 3일 오후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아이들을 볼모로 하는 사립유치원들은 각성하라"며 "유아교육 농단을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구경북 유치원 91곳이 4일 개학을 일제히 연기했다. 지역 전체 사립유치원(463곳) 중 20%에 해당한다. 경북의 대다수 유치원은 자체 돌봄서비스조차 운영하지 않기로 해 학부모들의 큰 혼란이 예상된다.

3일 대구시교육청과 경북도교육청에 따르면 3일 오후 6시 기준 개학 연기를 밝힌 사립유치원은 대구 50곳, 경북 41곳이다.

교육지원청 관할 별로 대구는 동부 11곳·서부 6곳·남부 35곳·달성 6곳, 경북은 포항 35곳·경산 6곳이다. 대구 한별유치원은 개학일을 5일, 채송화유치원은 6일로 각각 미뤘고 나머지는 개학 연기일을 밝히지 않았다.

대구의 경우 개학을 연기한 유치원 전체가 자체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 등원만 정상적으로 할 뿐, 수업은 하지 않는 것이다.

반면 경북은 41곳 중 단 2곳만 돌봄을 운영하기로 해 파장이 클 것으로 보인다. 당장 돌봄을 필요로 하는 원아 수만 5천여명에 이른다. 특히 포항의 경우 58개 사립유치원 중 절반이 넘는 35곳이 무기한 개학 연기에 동참해 그야말로 보육 대란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경북도교육청은 인근 공립유치원과 어린이집 등에 원아들을 배치하고, 아이돌봄 서비스 계획을 수립해 지원하는 등 긴급 대책 수립에 나섰다.

또한 대구시교육청과 경북도교육청 모두 개학 연기 유치원에 대해 4일 현장 조사와 함께 시정명령을 내린 뒤, 5일에도 정상 운영하지 않으면 고발 등 법적 조치도 고려하겠다는 방침이다.

임종식 경북도교육감은 "유치원 동향을 긴밀한 현장 모니터링을 통해 지속적으로 살펴보고, 유치원 단체와 지속적인 대화와 설득을 통해 운영 정상화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의 사립유치원 공공성 강화 방안에 지속적으로 반발해온 한국유치원총연합회(한유총)은 지난달 28일 '유치원 개학 연기'라는 초유의 사태를 예고했다. 이들은 주말 동안 교육당국과 접점을 찾지 못한 채 팽팽한 줄다리기를 이어갔고, 결국 개학 연기를 강행하기로 했다.

이에 3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교육감들은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개학 연기를 강행한 유치원들에 대해 설립허가 취소를 추진하겠다고 밝히는 등 강경 조치에 나섰다. 하지만 한유총 역시 유치원 '폐원 투쟁'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사태가 장기화할 조짐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