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교육재단이 포항과 광양 등에서 운영 중인 유치원~중학교의 공립 전환 방침을 무기한 유보(매일신문 4월 11일 자 10면)하겠다고 밝혔지만, 공립화 준비는 착착 진행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학교를 자율적으로 운영할 자금이 갈수록 줄고 있는 등 공립으로 전환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는 것이다.
23일 재단 내 교사 등 구성원들에 따르면 학교 학생 중 절반을 차지하는 포스코 직원 자녀들을 위해 포스코가 지원하는 출연금이 이르면 2021년 끊길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240억원, 올해 220억원, 내년 100억원 미만, 2021년 0억원이 될 것이라는 게 이들의 분석이다.
실제로 해마다 5월쯤 나오던 출연금이 올해는 아직 집행되지 않고 있다. 다음달에도 출연금 이사회가 열릴 지 불투명하고, 열린다고 해도 포스코교육재단이 요청한 예산(220억원)이 제대로 반영될 지도 미지수다.
지난 4월 포스코 파견 직원 등으로 구성된 '학교운영TF' 활동도 포스코 공립화 방침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게 교사 등의 주장이다. 이들은 TF가 포스코로부터 받는 출연금을 '0'으로 만들기 위한 활동에 힘을 쏟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출연금이 없으면 학교 운영이 어려워지고 자연스럽게 공립화로 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들에 따르면 TF의 활동이 ▷교사 특별수당 백지화 ▷야구부, 체조부 등 운동부 폐지 및 조정 ▷자사고인 포항제철고의 일반고 전환 ▷공교육에서 하지 않는 교육시스템 배제 ▷인력 구조조정 등에 집중되고 있다.
재단은 "포스코의 수익 변화 등 여러 영향에서 완전히 독립하기 위해 재정 합리화를 통한 자립도 향상 방안을 논의하고 있을 뿐 공립화는 염두에 두지 않고 있다"고 해명했다.
재단은 보유 중인 수익형 자산인 포스코 주식과 펀드 등에서 발생한 수익(60억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정부에서 지원하는 재정결함보조금 등을 확대해 운영자금에 여유를 만들어 재원 독립을 이루겠다는 계획이다.
재단 관계자는 "재단이 외부에 흔들리지 않기 위해선 경제적으로 자립해야 한다. 이를 위한 다양한 방안은 고민하고 있지만 구체화된 것은 아직 없다"고 했다.
재단 내 한 교사는 "포스코가 사회공헌활동을 위해 다른 나라엔 수십억원씩 쾌척하면서도 지역 교육 지원에는 왜 몸을 사리는지 모르겠다. 재단 내 학생들이 포스코 직원 자녀든 포항시민의 자녀든 모두 지역을 발전시킬 인재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재단은 지난해 10월 포항·광양·인천에서 운영 중인 유치원과 초·중·고 12곳 가운데 고등학교 4곳을 제외한 8곳을 공립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해 왔지만 내부 반발에 부딪쳐 이를 무기한 유보하고 재정합리화를 통한 홀로서기 방침을 밝힌 바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