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이제야 6·25는 '북한의 침략' 밝힌 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6·25전쟁 책임이 북한에 있음을 분명히 했다. 문 대통령은 24일 국군과 유엔군 등 6·25 참전 용사와 유가족을 청와대로 초청해 가진 오찬 간담회에서 "6·25는 비통한 역사지만 북한의 침략을 이겨냄으로써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지켜냈고 전쟁의 참화를 이겨내려는 노력이 오늘의 대한민국 발전을 이루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공식 석상에서 6·25전쟁을 이렇게 규정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지극히 당연한 역사 인식이다. 그런 점에서 놀라운 변화다. 지금까지 문 대통령은 6·25전쟁 책임이 북한에 있음을 분명히 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가장 최근의 예가 "반만년 역사에서 남북은 그 어떤 나라도 침략한 적이 없다. 서로를 향해 총부리를 겨눈 역사를 가졌을 뿐"이라고 한 지난 14일 스웨덴 의회 연설이다. 이를 두고 국내에서 북한의 전쟁 책임을 희석하고 6·25전쟁을 '쌍방 과실'로 몰아갔다는 비판이 나왔는데 그럴 만했다.

지난 6일 현충일 추념사에서는 한발 더 나아갔다. 지난 2차례의 추념사와 마찬가지로 '북한'과 '6·25'는 아예 언급하지 않은 채 북한 정권 수립에 참여해 고위직을 지냈으며 남침 전쟁 수행 공로로 최고 훈장까지 받은 김원봉을 '국군 창설의 뿌리'로 지칭했다.

6·25 참전 용사와 전사자, 그들의 유가족에 대한 모독이라고 할 수밖에 없는 역사의 왜곡이자 가치 전도(顚倒)였다. 학자나 연구자는 이런 편향된 사관(史觀)에 경도될 수 있지만, 대통령이 이래서는 안 된다.

이런 전례는 문 대통령의 이번 6·25전쟁 언급이 최근의 정치적 곤경에서 벗어나기 위한 일시적 제스처일지 모른다는 의구심을 떨치지 못하게 한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억울하겠지만, 이는 문 대통령이 자초한 것이다. 이런 의심을 벗는 길은 앞으로 문 대통령이 어떻게 하느냐에 달렸다. 올바른 역사 인식이 일회성이 아님을 기회 있을 때마다 증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