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내연차 위주 대구 자동차부품업계 고용 더 나빠질 것"

대구시, 대구고용노동청, '대구고용포럼 제1차 정기포럼' 개최
미래차 시대 전환 어렵고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겹쳐 어려움

대구 자동차부품업계 고용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11일 대구 그랜드호텔에서 열린 대구고용포럼에서 토론 좌장을 맡은 박상우 경북대 교수가 발언하고 있다. 박상구 기자
대구 자동차부품업계 고용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11일 대구 그랜드호텔에서 열린 대구고용포럼에서 토론 좌장을 맡은 박상우 경북대 교수가 발언하고 있다. 박상구 기자

올해 대구 자동차부품업계의 불황이 이어지고 고용도 악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대구시와 대구고용노동청은 11일 위기에 처한 대구 자동차부품업계의 고용대책을 논의하고자 '대구고용포럼 제1차 정기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자동차산업의 고용 현황과 전망'을 주제 발표한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내연기관차 부품업체들의 인원 감축이 시작됐다고 경고했다.

이 연구위원은 "최근 비계열사 부품업체 중 규모가 가장 큰 만도가 임원 20%를 줄이고 희망퇴직을 조기시행하는 등 구조조정을 시작했다. 전기차, 수소차 등 미래차 생산이 늘면서 내연차 위주의 중소기업 어려움이 커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우리나라 제조업 로봇 대수가 최근 빠르게 늘며 세계 최고 수준까지 올라온 점도 지역 업계 고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미래차 시대에 적응에 대비할 대구경북의 제조업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점도 지적했다.

이 연구위원은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적응할 중견기업이 절실하지만 2015년 기준 대구의 제조 중견기업 수는 55곳으로 전국 1천488곳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전문성을 갖춘 산업기술인력도 인구 대비 부족한 상황"이라며 "중견기업 육성을 위한 투자를 촉진하는 한편 중장기 상생형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열린 대구 자동차부품업계 노사정 토론에서는 최저임금 인상과 내년 50~299인 사업장으로 확대될 주52시간 근로제에 대한 우려가 나왔다.

황성원 금속노조 대구경북본부 사무국장은 "대구 자동차부품업체의 임금은 대기업 생산직의 절반도 안 되는 수준이다. 더구나 내년부터 근로시간이 단축되면 근로자 임금은 평균 25% 줄어들 것"이라며 "근로시간 단축은 고용 창출 대신 근로자들의 삶만 피폐하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곤 ㈜에이엠에스 이사는 "국내 자동차산업 종사자가 2017년 40만1천명에서 올 4월 38만5천명까지 줄었다. 업체들은 인건비 부담과 내수판매 부진이 겹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최저임금법을 개정하는 등 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