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조국 법무부 장관을 임명한 것은 국정원에 이어 검찰·경찰 2곳의 권력기관 개혁을 마무리하겠다는 의지를 내보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검찰에 대해 개혁의 '메스'가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문 대통령은 대통령, 그리고 국회가 법률이 부여한 고유의 권한을 바탕으로 조 후보자에 대한 적격성을 판단하는 와중에도 강제 수사를 진행하며 파장을 일으킨 검찰에 대해 "검찰 뜻대로 안된다"는 강한 경고장을 날린 것으로도 읽힌다.
이에 따라 문 대통령은 조 장관을 앞세우고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엄호 사격을 세차게 하도록 독려하는 상황 속에서 종합적 상황을 관리하며 검찰 개혁을 최우선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조 장관은 지난 6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검찰이 전 세계 어느 나라보다 권력이 과다하다. 오래전부터 검찰 개혁을 주창했고, 법무부의 탈검찰을 주장했다. 그게 저의 소신"이라고 강조, 검찰 개혁 작업은 그 어느 정부보다 강한 압력 아래에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조 장관 임명을 속전 속결로 추진하려고 했지만 많이 머뭇거린 흔적이 역력하다. 지난 6일 오후 귀국해 참모들로부터 조 장관의 청문회 등 국내를 비운 사이에 있었던 사항들을 보고받으며 숙고에 들어갔으며 당일 밤 결정을 내릴 수도 있었지만 이날 밤새도록 여러 시나리오를 놓고 심사숙고한 뒤 결정, 9일 오전 발표를 지시했다.
강기정 청와대 정무수석은 9일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조국 법무부 장관 임명에 대해 "문 대통령이 (동남아 3개국) 순방을 다녀오자마자부터 다양한, 많은 분의 찬반 의견을 들었다. 아마 대통령이 되고 나서 한 사안, 특히 인사 문제에 대해서 이렇게 많은 다양한 의견을 들은 적이 없을 것이다. 그중에는 임명해야 한다, 임명에 대한 우려 같은 것도 있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그 어느 때보다 고심을 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저희가 보고했지만, (문 대통령이) 국내에 안 계셨던 만큼 팩트 파악은 물론 소위 여론, 민심이 어떤가에 대해서 쭉 들으셨다"고 전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