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가 작년보다 내려간 것으로 나타났다. 농산물 가격과 유가가 하락한 가운데 수요가 부진하면서 물가 상승압력이 낮아진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올해 9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년 전 같은 달보다 0.7% 떨어졌다. 7월(-0.3%) 이후 석 달째 하락세다. 하락률은 2016년 9월(-1.1%) 이후 3년 만에 가장 컸다.
지난달 농산물(-12.8%)과 축산물(-4.2%)에서 하락 폭이 컸다. 지난해 폭염으로 농·축산물 가격이 오른 데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제 유가가 하락한 영향으로 석탄 및 석유제품(-12.3%) 물가도 내렸다.
세부 품목별로 보면 무(-49.0%)와 토마토(-38.3%), 돼지고기(-6.2%), 달걀(-14.5%) 등이 크게 떨어졌다. 석탄 및 석유제품인 나프타(-22.8%)와 경유(-10.3%), 휘발유(-14.2%) 등도 함께 하락했다.
핵심 수출품목인 디램(DRAM) 생산자물가는 1년 전보다 48.4% 내렸다. 글로벌 수요가 둔화하면서 재고가 쌓였기 때문이다. 수요 부진으로 인해 물가 상승압력이 낮아진 점도 생산자 물가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생산자가 국내시장에 출하한 상품·서비스 가격을 나타내는 생산자물가는 보통 한 달가량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되기 때문에 10월 소비자물가도 마이너스를 나타낼 가능성이 높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