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의 언론 대응책이 연일 비판의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황교안 한국당 대표가 지나치게 편향적 성향의 일부 유튜버에 대해 호감을 드러내고 있는가 하면 한국당에 비판적인 언론에 대해 '삼진 아웃제'를 한다고 발표했다가 사흘만에 이를 철회한 것이다.
황 대표가 12일째 농성을 벌인 22일 국회 본청 로텐더홀 농성장에는 5∼6명의 이른바 '보수 성향' 유튜버가 상주하며 실시간 생중계를 하고 있다. 황 대표는 농성 중에 "수고가 많다"며 유튜버들에 먼저 말을 걸거나 즉석 인터뷰 요청에 응하는 등 우호적인 모습을 보인다.
황 대표 지시로 한국당은 이들에게 당 출입 기자와 동일하게 주요 회의나 행사 취재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황 대표는 의원총회에서 "유튜버들에게 입법보조원 자격을 줘 국회 출입기자와 비슷한 자격을 부여하자"는 제안까지 해 논란을 빚기도 했다.
한국당은 지난 19일 기존 언론을 겨냥해 '편파·왜곡 보도 시 삼진 아웃제' 적용 방침을 밝혔다가 사흘만인 22일 이를 철회했다.
한국당이 "반복되는 편파·왜곡 보도에 1·2차 사전경고를 하고, 3차에는 한국당 출입금지 등 제재를 가하겠다"고 밝혔던 삼진아웃제가 언론 비판에 재갈을 물린다는 당 안팎의 비판으로 이어지자 이를 의식한 조치로 보인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