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돗물 수질 검사항목 286개→295개로 강화

대구시, 잔류의약물질 9개 항목 추가…유해물질 검사 월 2회서 주 1회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 소속 전문연구원들이 수돗물에 들어 있는 잔류의약물질을 정밀 검사하고 있다. 대구시 제공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 소속 전문연구원들이 수돗물에 들어 있는 잔류의약물질을 정밀 검사하고 있다. 대구시 제공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이하 본부)는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하고자 수질 검사항목을 늘리고 낙동강 상류의 미량 유해물질 검사도 강화하기로 했다.

본부는 올해 수돗물 검사항목을 기존 286개에서 295개로 늘렸다고 17일 밝혔다. 추가되는 항목은 아세트아미노펜 등 잔류의약물질 9개다. 아울러 상수도원수에 대한 검사항목도 263개에서 279개로 확대했다. 원수의 경우 잔류농약물질 7개와 잔류의약물질 5개, 개인위생용품 오염물질 4개 등 모두 16개를 추가했다.

낙동강 상류의 수질감시도 강화한다. 이를 위해 미량 유해물질(1,4-다이옥산과 퍼클로레이트, 과불화화합물, 안티몬 등)의 검사 지점을 기존의 구미하수처리장과 성주대교 등에서 칠곡보를 추가하기로 했다. 검사 주기도 강화했다. 월 2회 이뤄졌던 2개(과불화화합물, 안티몬) 유해물질의 검사를 주 1회로 조정했다. 나머지 2개 물질은 기존 주 1회 검사를 유지한다.

오는 5월에는 미국 캘리포니아 수자원국 소속의 오렌지카운티 수질연구원과 업무협약을 맺고, 신종 미량 오염물질에 대한 교차 분석을 진행할 예정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