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대학 입학 40주년을 자축하는 의미에서 최근에 미얀마 양곤 메아트콩 지역의 빈민촌과 고아원으로 의료봉사 및 문화행사를 다녀왔다. 열악한 상태에 있는 주민들을 위해 무료진료를 하고, 어린아이들을 위해 다양한 학용품, 치약, 칫솔, 축구공, 운동복 등을 전달하고 너무나 순박하고 해맑은 아이들과 잠시나마 보람된 재능 기부 시간을 보냈다.
미얀마는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 반도와 인도 대륙 사이에 있는 나라로 면적은 우리나라의 여섯 배나 크고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석유, 천연가스, 구리, 니켈, 주석, 텅스텐의 매장량이 많다. 특히 옥 등 보석류의 생산량이 많은데, 이중 루비는 전 세계 생산량의 90% 이상이 미얀마에서 생산되고 있다.
2차 대전 후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최근까지 군부 독재에 의한 고립 사회주의 정책을 고수하여 풍부한 지하자원과 광활한 평야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이 있는데도 아시아 최빈국 중 하나이다. 우리에게는 과거 버마라는 국명으로 더 잘 알려진 나라로 1970년대에는 우리나라 함께 아시아 축구 강국으로 더 잘 알려져 있었고, 특히 1983년 북한 공작원에 의한 아웅산 암살폭발사건이 일어나 우리나라 다수의 정부요인들이 희생당한 아픈 추억도 있다.
필자는 이전에 필리핀 마닐라 외곽의 거대한 쓰레기 매립장이 있는 빠야따스 지역과 킬링필드로 유명한 캄보디아로 해외 의료봉사를 다녀온 경험이 있어 의료 사각지대에 있는 주민들의 열악한 사정을 어느 정도 알고 있다.
미얀마에서 가장 큰 도시인 양곤의 빈민가 모습은 너무나 열악했다. 기본적인 상하수도 시설이나 의료시설이 전무한 곳으로 밀려오는 환자는 한눈에 보기에도 위생상태가 매우 좋지 않았다. 환자들 대부분은 수인성 질환이나 피부질환 환자였다. 요즘 우리나라에서는 좀처럼 보기 어려운 환자들이다. 특히 아이들을 위한 교육 및 보건 환경은 최악이었다. 소아청소년 환자는 영양실조와 위생상태 불량으로 인한 호흡기 감염, 설사 등의 소화기 질환, 피부 질환 환자가 많았다. 너무나 여윈 아이들이 신발도 신지 않고 힘없이 진료를 받기 위해 기다리고 있는 모습을 보면서 참으로 안타까웠다.
해외 의료봉사를 마치고 돌아오는 비행기 안에서 많은 생각을 했다. 자원이 풍부하고 땅도 기름져 복 받은 국가의 국민들이 인간의 기본권을 누릴 수 없는 나라로 전락해 버린 이유는 무엇일까?
프랑스 근대철학자인 장 자크 루소는 '사회계약론'에서 인간의 기본권을 누릴 수 없는 이유를 사회 부조리와 잘못된 정치형태를 그 원인으로 꼽았다. 미얀마도 잘못된 정치, 경제, 사회 정책과 지도층의 부패로 인해 산업화, 민주화시기를 노치고 극심한 빈부차로 인해 국민의 상당수가 극빈층으로 전락했다고 생각된다.
우리나라도 1950, 60년대 빈곤한 시절에는 많은 나라의 도움을 받아 빈곤에서 벗어났다. 그 원동력은 단순한 원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부모님 세대가 더 나은 삶을 위한 의욕으로 피나는 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미얀마 국민도 하루빨리 삶의 의욕을 회복하고 빈곤에서 벗어나 건강한 삶을 살기를 기원한다.
고석봉 대구가톨릭대병원 산부인과 교수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