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취재현장] 엑스포의 뒤늦은 사과…아쉽지만 환영한다

경주엑스포공원의 경주타워. 연합뉴스
경주엑스포공원의 경주타워. 연합뉴스
김도훈 경북부 기자
김도훈 경북부 기자

경주엑스포공원엔 높이 82m 직육면체 유리벽에 신라 황룡사탑 실루엣을 음각한 상징 건축물이 있다. (재)문화엑스포가 2007년 세운 '경주타워'다.

준공 직후 경주타워는 저작권 논란에 휘말렸다. 유동룡(1937~2011) 씨가 2004년 경주타워 설계공모에 낸 이미지를 꼭 빼닮았기 때문이다. 유 씨는 '이타미 준'이란 이름으로 알려진 재일교포 2세 건축가다.

당시 공모전에서 유 씨의 계획안은 설계권이 주어지지 않는 우수상을 받았다. 제자를 통해 본인의 공모전 출품작과 경주타워가 유사하다는 내용을 전해 들은 유 씨 측은 즉시 공모전 당선자를 상대로 저작권법 위반으로 형사소송을 제기했으나 증거불충분으로 불기소 처분이 났다. 이듬해엔 건축주인 문화엑스포를 상대로 저작권 침해에 따른 손해배상청구소송을 냈다. 1심에선 패했으나 항소심에서 판결이 뒤집혔다. 당선자와 건축주의 회의록에서 '유리 타워에 음각으로 황룡사탑 모양을 파내라'고 건축주 측이 제안한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대법원도 원고 승소를 확정했다. 그러나 그는 대법원 판결 1개월 전인 2011년 6월 74세로 세상을 떠났다.

이듬해엔 유 씨의 장녀 유이화 ITM건축사무소 소장이 아버지의 명예 회복을 위해 '건축물에 저작권자 성명을 표시해 달라'는 소송을 제기해 일부 승소했다. 이에 따라 문화엑스포는 2012년 경주타워 왼편 바닥에 저작권자가 유동룡이라는 내용이 적힌 가로 세로 60㎝ 크기 표지석을 설치했다. 완공 5년 뒤에야 건물 설계자로 인정받은 셈이다.

그러나 당초 표지석이 구석진 바닥에 설치돼 눈에 잘 띄지 않는 데다 최근엔 표시 문구의 도색까지 벗겨지자 유 소장은 지난해 9월 다시 소송을 내 현판을 새로 붙여줄 것을 요구했다. 이후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문화엑스포 이사장)가 저작권 인정과 수정 조치 등을 지시하면서 소송은 취하됐다.

눈에 띄는 점은 이 도지사가 유족 측이 소송을 제기하기 이전인 지난해 8월 이미 잘못을 인정하고 적극적인 조치를 지시했다는 것이다. 유 씨의 삶과 건축 철학을 담은 다큐멘터리 '이타미 준의 바다'를 본 류희림 문화엑스포 사무총장의 보고가 시발점이 됐다. 엑스포는 최근 타워 앞에 새 안내판을 세우고 오는 17일 제막식을 갖는다. 12년간 이어졌던 긴 법적 공방에 마침표를 찍겠다는 의미다.

새 안내판은 유족 측이 요구했던 것보다 훨씬 큰 가로 1.2m, 세로 2.4m 크기로 세워졌다. 당초 요구 사항에 없었던 유 씨의 설계안도 안내판에 담았다.

이철우 도지사는 최근 보도자료를 통해 "늦었지만 이제서라도 바로잡을 수 있게 됐다"며 "세계적인 건축 거장의 저작권을 침해하고 명예를 실추시켰던 과오를 반성한다"고 했다.

논어엔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란 말이 있다. '잘못이 있다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는 의미다. 이상적인 인물인 군자는 잘못을 저지르지 않는 완벽한 인간이 아니라, 인간은 누구나 잘못을 할 수 있지만 그 잘못을 고치는 것을 꺼리지 않는, 더 나아지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란 점을 일깨운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선 잘못을 인정하고 용서를 구한 뒤 그 결과에 대해 겸허하게 책임지는 모습을 보기가 쉽지 않다. 그런 점에서 이 도지사의 용기 있는 사과는 돋보인다.

다만 엑스포의 사과가 좀 더 빨랐더라면 어땠을까. 도쿄에서 태어나 평생 한국 국적과 한국 이름을 버리지 않았던 그가, 고국에서 비롯된 작품에 대한 상처를 안고 세상을 떠나진 않았을 텐데, 하는 아쉬움은 어쩔 수 없고.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