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가 전년 동기 대비 56만8천 명 늘었다. 2014년 8월 이후 5년 5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0.0%로 0.8%포인트 상승했다. 이에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속된 고용 회복 흐름이 더 견조해지는 모습"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취업자 수 증가 등 겉으로 드러난 수치만 보면 고용 회복을 들먹일 수 있다. 그러나 구체적 항목들을 살펴보면 허수(虛數)에 불과할 뿐 고용의 질(質)은 나빠지고 있고, 고용시장은 엄동설한이라는 사실을 바로 알 수 있다.
국민 혈세를 쏟아붓는 정부의 노인 일자리 사업이 취업자 수 증가 규모를 키우는 착시 현상을 낳고 있다. 60세 이상 취업자가 50만7천 명 증가했다. 늘어난 취업자 수의 90%가 60대 이상에서 나온 셈이다. 특히 65세 이상 취업자가 32만7천 명 늘어 1989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이 늘었다. 이에 반해 경제 활동의 중심 연령대인 40대는 취업자가 8만4천 명이나 감소했다. 2015년 11월 감소세로 돌아선 후 51개월째 내림세를 나타내고 있다. 단시간 일자리 중심으로 취업자가 늘어나는 것도 문제다. 주당 취업 시간이 36시간 미만인 취업자는 56만9천 명 늘어난 데 비해 53시간 이상 취업자는 33만7천 명 줄었다.
노인·단기 일자리 사업 효과가 없지 않겠지만 세금으로 만든 일자리만 잔뜩 늘려 놓고 고용 회복이라 호도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세금을 투입해 고용지표를 끌어올리는 것은 숫자 놀음에 불과하고 지속 가능하지도 않다. 제조업에서 제대로 된 일자리가 늘고 경제와 사회, 가정의 중추인 40대의 고용이 늘어나야 진정한 고용 회복이라 할 수 있다. 투자·소비를 가로막고 있는 규제 혁파, 노동시장 개선, 반기업 정책 폐기 등을 통해 기업 활동을 적극 뒷받침해 민간에서 일자리가 늘어나도록 해야 한다. 정부는 숫자 놀음을 집어치우고 기업 등 민간의 고용 역량을 극대화해 제대로 된 일자리를 만드는 데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