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권 시장·이 지사 "당정청이 국민적 혼란 부추겼다"

지역 출입 차단(물리적 봉쇄) 아니라 의학적 봉쇄(지역사회 전파·확산 차단)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대구시청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구지역 특별대책회의에서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오른쪽은 권영진 대구시장.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대구시청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구지역 특별대책회의에서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오른쪽은 권영진 대구시장. 연합뉴스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25일 더불어민주당과 정부, 청와대가 '대구경북 최대 봉쇄 조치'를 언급한 것에 대해 "정치권의 섣부른 언급이 국민적 혼란만 부추겼다"고 비판했다.

권 시장은 "봉쇄라는 부정적인 단어를 정치적으로 언급하지 말라"며 "우리처럼 물동량이 많은 곳에서 어떻게 (물리적) 봉쇄를 할 수 있겠느냐"고 어이없어 했다.

'지역사회 전파·확산 차단'이라는 의학적 의미의 봉쇄를 정치권에서 섣부르게 언급하는 바람에 대구경북 시도민과 국민들에게 지역 출입을 차단하는 물리적 봉쇄로 잘못 받아들여졌다는 것이다.

부연 설명에 나선 김종연 대구시 감염병 관리지원단 부단장(경북대병원 예방의학과 교수)은 '지역사회에서 감염병이 발생하면 4단계로 전략을 세운다. 막 퍼져나가는 단계에선 '봉쇄' 전략을 쓴다"며 "봉쇄 전략이라는 것은 지역사회에서 감염을 일으킬만한 분들을 최대한 빨리 확인해 격리조치하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도 "만약 중국 우한처럼 대구경북을 봉쇄한다는 의미라면 있어서도 안 되는 일이고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봉쇄' 발언이 논란이 된 뒤 문재인 대통령이 내놓은 입장을 존중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이철우 도지사는 "문 대통령이 당·정·청의 '최대한의 봉쇄 조치' 표현은 지역적 봉쇄를 말하는 것이 아닌 코로나19 전파와 확산을 최대한 차단한다는 뜻이라니 존중한다"면서 "정부는 코로나19 확산 방지와 원활한 확진자 치료를 위해 대구경북에 최대한의 지원을 해달라"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