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문 대통령의 특별재난지역 선포, 이제 지원 실천만 남았다

11일 오후 대구 도심지인 동성로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시민들이 사람 많은 곳에 대한 외출을 기피하면서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11일 오후 대구 도심지인 동성로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시민들이 사람 많은 곳에 대한 외출을 기피하면서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최대 피해 지역인 대구와 경북 일부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자연재해가 아닌 감염병으로 인한 이러한 조치는 사상 처음이다. 이는 지난달 25일 대구를 방문, 피해 현장을 직접 확인한 자리에서 "특별재난지역 선포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 모든 방안을 강구하겠다"는 약속에 따른 조치로 늦었지만 다행이다. 이제 남은 일은 정부와 정치권의 실질적인 지원의 이행이다.

코로나19 사태로 대구는 말할 것도 없고 경산을 비롯한 경북은 사실상 일상이 멈췄다. 그러나 대구경북은 국가적 재난인 이번 사태의 피해를 당하는 참혹한 경황에도 감염병의 다른 지역 전파·확산을 막으려 민(民)·관(官)·군(軍) 등 모두 하나로 방어에 나섰다. 그러니 생업과 기업 활동 등 생활과 산업 현장 전반에서 눈덩이처럼 커지는 피해를 속수무책으로 고스란히 당할 수밖에 없었고, 이는 대구에 머물던 정세균 총리도 매일 겪은 일이다.

이런 참담한 피해를 입은 대구경북이 그나마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나라 안팎에서 지원과 도움의 손길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위해서는 정부의 특별재난지역 선포에 걸맞은 재정적 지원과 뒷받침이 절실하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코로나19 대구경북 재난안전대책특별위원회가 정부에 8천500억원의 그야말로 '생존 자금'을 바란 것도 바로 그런 절박함 때문이다. 그러나 갈수록 늘어만 가는 피해를 따지면 이것만으로는 어림없다.

지난 13일에 이어 16일 이뤄질 총 11조7천억원 규모의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올해 첫 추가경정예산안의 국회 심사에서는 초토화된 대구경북을 위한 실질적 배려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이미 13일 심사에서 지적된 것처럼 이번 추경은 코로나19 극복이 목적인 만큼 총선용 예산을 배제하고 여야 정쟁에서 벗어나 매일 생존의 사투를 벌이는 대구경북의 고통을 헤아리는 심사여야 한다. 이는 문 대통령 약속의 실천이자 눈앞의 절망을 이길 희망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