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무제한 돈 풀기' 개시 첫날인 2일 금융기관이 입찰한 5조원대 자금을 시중에 모두 공급하기로 했다.
한은은 이날 오전 시중에 유동성을 확대 공급하려 은행, 증권사 등을 대상으로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 입찰을 실시해 5조2천500억원이 응찰했다며 이 금액 모두 공급한다고 밝혔다. 만기 기한은 91일이다.
RP란 금융기관이 일정 기간 뒤 다시 사는 조건으로 채권을 팔고, 경과 기간에 따라 소정의 이자를 주고 되사는 채권이다. 사실상 채권을 담보로 맡기고 현금을 빌리는 것이다.
금리는 기준금리(연 0.75%)보다 0.03%P(포인트) 높은 연 0.78%로 결정했다. 이는 통화안정증권 수익률, 한은의 직전 RP 매입 평균금리, 증권사의 RP 조달금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수치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달 26일 일정 금리 수준에서 시장의 자금 수요 전액을 제한 없이 공급하는 '주 단위 정례 RP 매입 제도'를 3개월간 도입한다고 결정한 바 있다.
한은이 무제한 유동성 공급 방침을 밝힌 뒤 처음 실시한 입찰임에도 금융사들 요청자금 규모는 우려할 만큼 크지 않았다.
이는 계절 요인에 따른 분기 말 긴급 자금 수요가 일단 진정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은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사태로 자금시장이 경색되자 지난 달 19∼24일에도 증권사 대상 RP 매입과 국고채 단순매입으로 총 5조원의 유동성을 공급한 바 있다.
그러나 시장 일각에선 금융사들이 담보로 맡길 만한 우량 증권을 이미 다른 용도 담보에 쓴 상태여서 한은에 돈을 더 빌릴 여력이 없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다른 일각에선 한은이 RP 매입 모집금리 수준을 기준금리보다 낮게 설정하고 금융사들의 금리 부담을 낮춰야 제도 실효성이 높아질 거라는 주장도 나온다.
이에 대해 한은 관계자는 "RP 매입금리를 기준금리보다 낮게 책정하면 금융기관의 금리차액거래 수단으로 전용돼 응찰 규모가 필요 이상으로 과다해질 우려가 있다"며 "모집금리를 기준금리보다 낮게 설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