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도 넘은 여야 돈 풀기 유혹, 선거 이후는 안중에 없나

총선이 돈 풀기 경쟁으로 얼룩지고 있다. 여당이든 야당이든 서로 더 많이 퍼주겠다고 한다. 유권자 나아가 국민 전체의 영혼을 돈으로 사겠다는 것이다. 앞으로 어떨지는 모르겠지만, 지금까지 이런 총선은 없었다. 현금 살포라는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어버린 것이다. 우한 코로나 대응에서 보여준 우리 국민의 높은 민도(民度)에 오물을 끼얹는 정치의 타락이다.


미래통합당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이 9일 "전국 대학대학원생에게 1인당 100만원씩 특별재난장학금을 지급하자"고 한 것은 건전 보수 야당이라면 하지 말아야 할 소리였다. 건전 보수 야당이 지향해야 할 제1의 덕목은 국가와 사회의 지속 가능성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후대에 빚을 떠넘기지 말아야 한다. 김 위원장의 말은 그 반대로 가겠다는 소리다. 김 위원장의 말대로 하려면 3조원이 필요하다. 국가부채가 1천750조원에 달했음에도 또 빚을 내 퍼주겠다는 여당과 무엇이 다른가.


대학생이 아닌 젊은이의 소외는 더 큰 문제다. 유승민 의원의 지적처럼 젊은 층에서는 대학생·대학원생만 있는 게 아니다. 집안 사정이 어려워 진학을 포기하거나 학업을 잠시 접은 젊은이들도 많다. 이들은 대학생보다 도움이 더 필요할 것이다. 이들은 통합당이 살펴야 할 국민이 아니란 말인가. 아무리 선거가 급하다지만 생각이 이렇게 단세포적일 수 있는지 참으로 개탄스럽다.


나라의 미래를 생각하는 보수 야당이라면 코로나 사태를 빙자한 여당의 퍼주기에 단호하게 선을 긋고 코로나 경제난을 경감하는 합리적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 하지만 여당의 돈 뿌리기에 뇌동(雷同)을 넘어 한술 더 얹는다.


정부가 소득 하위 70%에 재난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하자 황교안 대표는 '전 국민 50만원 지급'으로 '판돈'을 올렸다. 그러자 여당은 기다렸다는 듯이 이를 받아 '전 국민 지급'으로 '콜'을 했고, 김 위원장은 대학·대학원생 100만원 지급으로 판돈을 또 올렸다. 정말이지 이래서는 안 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