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으로 4년 동안 지역 민심을 국정에 반영할 선량을 뽑는 4·15 총선일이 하루 남았다. 공식선거운동 마지막 날인 14일 자정까지 열띤 선거운동을 펼친 여야는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의 심정으로 국민의 선택을 기다리고 있다.
지난 3년 동안의 국정운영에 대해 여당의 '참 잘했어요!' 자찬과 야당의 '뭘 잘했어요?'라는 반박이 충돌하는 양상이다.
여권의 우세가 점쳐지는 가운데 정치권에선 여전히 수도권을 중심으로 50여 곳 이상에서 박빙의 승부가 펼쳐지고 있다. 이 때문에 선거일 당일 투표율과 막말 등 돌발변수 그리고 이른바 '샤이 보수'의 응집력이 최종 승부를 가를 것으로 보고 있다.
이낙연 민주당 공동상임선거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열린 민주당·더불어시민당 합동선대위 회의에서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적 피해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국정 혼란은 크나큰 재앙이기 때문에 (여당인) 민주당이 안정적 의석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반면 미래통합당은 최악으로 치닫는 경제상황과 북한에 끌려다니기만 한 안보 등 문재인 정부 3년의 실정(失政)을 직시할 것을 주문하며 좌파 독주를 견제할 수 있는 최소한의 힘을 달라고 유권자들에게 읍소했다.
김종인 통합당 총괄선대위원장은 "3년간의 경제 실정과 국정 파탄이 코로나 때문인가, 코로나 때문에 조국을 법무장관에 앉혔나? 본격적인 경제코로나 파도가 밀려올 것인데 이 정부 사람들은 응급 처방도 못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김 위원장은 "코로나(위기)를 틈타 청와대 돌격대, '코돌이'들이 대거 당선되면 국회는 바이러스에 감염되고 이 나라는 진짜 망하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밖에 민생당, 정의당, 국민의당 등 군소정당들은 그동안 한국정치를 독점해 온 거대 양당의 극단적인 대결정치에 대한 심판을 요구하며 '대안'으로 눈을 돌려 달라고 부탁했다.
정치권에선 이번 총선 결과가 2022년 3월 치러질 차기 대선을 준비하는 여야 대권주자들의 향후 정치적 입지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준연동형 비례대표 제도가 도입된 이번 총선에서 민주당과 통합당은 의석 수 확보를 극대화하기 위해 비례대표 전담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과 미래한국당을 각각 창당해 여야의 비례 의석 확보도 큰 관심사항으로 떠올랐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