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총선 전날까지 코로나 대응 자화자찬한 文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총선 전날까지 코로나19 대응에 대해 자화자찬한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 코로나와 사투를 벌이는 의료진, 진단키트를 개발한 업체들, 사회적 거리두기에 동참한 국민 덕분에 코로나 사태가 진정세로 돌아섰는데도 정권의 공인 양 자랑한 것은 옳지 않다. 더욱이 선거를 코앞에 두고 자화자찬을 늘어놓은 것은 표심(票心)에 영향을 주려는 불순한 의도로 비칠 수밖에 없다.

문 대통령은 어제 국무회의에서 "방역에서 보여준 개방적이고 민주적이며 창의적인 대응과 국민의 위대한 시민의식으로 대한민국은 전 세계가 주목하는 나라가 됐다"며 "한국형 방역 모델이 세계적 표준이 되고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이 "우리 국민의 역량이 만든 결과"라고 토를 달았지만 선거를 코앞에 둔 민감한 시점에 대통령의 자화자찬은 논란의 소지가 많다. 전날 수석·보좌관 회의에서도 문 대통령은 "우리의 방역 성과가 국제사회로부터 인정받으며 국가적 위상도 높아지고 있다"며 "방역 물품 수출이 급증하며 방역 한류 바람이 일어나고 있다"고 했다.

미국·유럽 등 코로나 창궐 국가들에 비하면 한국 상황이 상대적으로 낫다고 할 수 있지만 중국인 입국 금지 등 선제 대응으로 코로나 방역에 성공한 대만·홍콩·싱가포르에 비하면 "세계 표준" "방역 한류" 운운하는 것은 견강부회(牽强附會)다. 일부 외신마저 한국이 초기 대응 실패로 피해를 키웠다는 비판론을 제기하지 않았던가.

문 대통령과 정부·여당은 연일 낯뜨거운 코로나 대응 자화자찬을 이어왔다. 총선을 염두에 두고 표심에 영향을 주려는 의도에서 '방역 모범국' 홍보를 한다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 코로나 방역 자화자찬과 함께 문 대통령이 긴급재난지원금을 언급한 것 역시 선거를 염두에 둔 발언이란 오해를 사기에 충분하다. 문재인 정권은 코로나로 고통을 당하고 있는 국민에게 진심이 담긴 사과를 하지 않았다. 경제 폭망과 정권 의혹들로 여당이 총선에서 패배할 위기에 처하자 이를 모면하기 위한 코로나 방역 자화자찬만 할 뿐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