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5월 5일까지 '사회적 거리두기' 연장… 또는 '완화'

4대 밀집시설 운영 중단 권고 해제
자격·채용시험도 제한적으로 시행
'생활방역체계' 전환은 5월 6일부터

대구 중구 반월당 메트로센터에서 시민들이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며 자리에 앉아 있다. 매일신문DB
대구 중구 반월당 메트로센터에서 시민들이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며 자리에 앉아 있다. 매일신문DB

정부가 오는 5월 5일까지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기간을 연장하기로 했다. 다만 거리두기의 강도는 한 단계 완화하는 방식으로 절충점을 찾을 방침이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영상회의에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속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지만 쉽지 않다. 많은 의견을 듣고, 단계적으로 강도를 조절하는 방안을 고민했다"면서 "20일부터 5월 5일까지는 현 사회적 거리두기의 근간을 유지하되, 일부 제한을 완화하는 절충점을 찾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제한 완화와 관련, 종교시설 등 4대 밀집시설에 대해 현재 방역지침 준수명령을 유지하되, 운영 중단 강력 권고는 해제하기로 했다. 자연휴양림을 비롯해 위험도가 낮은 실외 공공시설도 준비되는 대로 운영을 재개한다는 방침이다.

정 총리는 "야외 스포츠도 무관중 경기처럼 위험도를 낮출 수 있다면 가능하고, 필수적인 자격시험이나 채용시험 등도 방역 수칙 준수 조건 아래 제한적으로 시행할 것"이라고 했다.

등교와 관련해선 전반적인 상황을 보면서 순차적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가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애초 19일까지로 예정됐던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이 끝나면 일상생활로 복귀해 방역에 힘쓰는 이른바 '생활방역체계'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이달 30일 부처님오신날부터 5월 1일 근로자의 날, 5월 5일 어린이날 등 연휴가 이어진다는 점을 고려해 다소 완화된 사회적 거리두기를 이어가기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또 코로나19의 잠복기를 2주로 보고 최근 총선과 나들이철, 부활절 등을 겪으며 일어날 수 있는 지역사회 감염에 대해 우려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부는 현재 수준의 안정적인 관리가 이어진다는 전제 아래, 5월 6일부터는 일상생활 속에서 거리두기를 실천하는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할 방침이다.

한편, 대구시는 정부 방역정책과 별도로 '대구형 사회적 거리두기 범시민 운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범시민 추진위를 구성, 분야별 일상생활 속 사회적 거리두기 세부 수칙과 함께 바이러스 재유행에 대비한 역학조사관 및 치료시설 확충 등의 방안을 마련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