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 참패로 가세(家勢)가 기운 제1야당이 진퇴양난에 빠졌다. 돌아선 민심 수습방안을 두고 갑론을박을 거듭하며 자중지란 중이기 때문이다. 핵심 쟁점은 누가 당 재건 작업을 주도하느냐다.
정치권에선 당의 활로를 두고 미래통합당 내부에서 백가쟁명식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결국은 당선인 중심의 의사결정 기구가 총대를 멜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통합당은 총선 참패 후 닷새가 지난 20일까지 이렇다 할 살길을 제시하지 못한 채 내부 싸움만 벌였다. 당의 최고의사결정기구인 최고위원회가 제시한 대안이 세 시간도 채 안 돼 의원총회에서 퇴짜를 맞는 촌극을 연출하기도 했다.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는 비공개 긴급회의를 열어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로 지도체제 전환, 5월 초 신임 원내대표 선출'을 결의했다.
심재철 원내대표 겸 당 대표 권한대행은 "대다수 최고위원이 신속하게 비대위 체제로 넘어가 이 상황을 수습하는 게 낫겠다는 의견을 보였다"며 "신임 원내대표의 경우 4월 말부터 징검다리 연휴가 이어져 5월 초순에 (선출)되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같은 지도부 방침은 이날 오후 열린 의원총회에서 제동이 걸렸다. 의총에 참석한 의원들이 물러날 지도부가 제시한 대안에 난색을 표했기 때문이다.
참석 의원들은 ▷비대위 구성 ▷조기 전당대회 개최 ▷신임 원내대표 조기 선출 ▷세대교체 강화 등 다양한 처방을 내놨다. 비대위 구성을 두고도 권한과 활동시한에 대한 이견을 쏟아졌다.
총선 참패로 침울한 분위기 속에 시작했던 이날 의총은 위기탈출 방안을 둘러싼 의견 대립으로 아무런 소득 없이 마무리됐다.
설상가상 비대위원장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김종인 전 총괄선거대책위원장도 "당이 스스로 결정할 문제이지, 나를 놓고 이래라저래라 하지 말라"며 "원래 그 당의 생리가 그렇다. 나한테 (비대위 건을) 물어보지 말라"고 거부 의사를 밝혔다.
특히 일부 의원들은 의총 후 기자들과 만나 '곧 집에 갈 사람들이 둘러앉아 당의 진로를 결정하는 것이 적절하냐?'는 의중을 비치기도 했다. 이에 정치권에선 서둘러 당선자 총회를 열어 원내대표를 선출하고 신임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당을 수습해 나가는 것이 순리라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