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단독]경북에 재난관리자원통합관리센터 생긴다

정부, 내년에 경북과 충남·전북 3곳 우선 설치 추진

박종호 산림청장이 지난 25일 안동시 산불 현장 통합지휘본부에서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산불 상황과 진화 전략에 대해 보고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종호 산림청장이 지난 25일 안동시 산불 현장 통합지휘본부에서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산불 상황과 진화 전략에 대해 보고하고 있다. 연합뉴스

재난의 신속한 수습과 예산 낭비를 막기 위한 국가 재난자원 통합관리 거점이 구축될 전망이다. 지진과 태풍, 코로나19에 이은 대형 산불까지 잦은 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려면 민·관 자원의 광역 관리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반영됐다.

26일 경북도 등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내년부터 재난관리자원통합관리센터(가칭·이하 관리센터) 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 국가관리센터를 중심으로 17개 광역자치단체에 지역관리센터를 만들어 재난 자원의 과부족, 동원 지연 같은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전략이다.

현재 전국에서는 경기도가 유일하게 2018년 4월 광주시 곤지암읍에 '광역방재거점센터'를 만들어 33만 개 물품을 갖추고 재난 현장에 필요한 물품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정부는 내년에 경북과 충남, 전북 3곳을 우선적으로 선정해 관리센터 설치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미 내부적으로 관련 예산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2022년과 2023년 각각 7곳씩 추가한다.

관리센터가 생기면 재난 자원의 제조·유통·물류업체는 물론 재난 자원과 관련된 기관·단체를 총망라하게 돼 물적 자원 동원과 비축의 효율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에서는 코로나19 사태로 마스크나 방호복 등 각종 방역물품 대란을 겪으며 재난 자원의 효율적 비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경북 역시 전국에서 밀려드는 구호품을 보관할 장소가 없어 경북도청 신도시 내 경북적십자사 주차장에 물품을 임시 보관하는 등 애를 먹었다.

경북도 관계자는 "경북은 지진과 태풍, 코로나19, 대형 산불 등 각종 재난이 발생하는 곳으로 재난 자원의 효율적 활용이 절실한 과제였다"며 "정부의 관리센터 구축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