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증시가 노동절 연휴 직후에도 큰 폭의 하락세를 이어갔다.
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32.42포인트(2.25%) 하락한 27,500.8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95.12포인트(2.78%) 떨어진 3,331.8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65.44포인트(4.11%) 떨어진 10,847.69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특히 대형 기술주 위주로 투매 현상이 벌어지면서 나스닥 지수의 급락세가 심상치 않은 상황이다.
지난 2일 사상 최초로 12,000선을 돌파한 나스닥은 다음날인 3일 4.96% 폭락하고, 4일에도 장중 5% 이상 폭락 후 종가 기준으로 1.27% 하락 마감한 데 이어 3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이날 한국 개미투자자, 이른바 '서학개미'들의 사랑을 받았던 테슬라는 21.6%나 폭락했고, 애플은 신제품 공개 일정을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6.7% 떨어졌다.
테슬라의 경우 S&P500 지수 편입이 불발된 점이 폭락 추세를 더했다.
마이크로소프트(-5.4%), 아마존(-4.4%), 페이스북(-4.1%), 구글 모회사 알파벳(-3.7%) 등 나머지 대형 기술주들도 부진을 면치 못했다.
그동안 미 IT 기업 주식들과 연계된 수십억달러 상당의 주식 옵션을 사들인 '나스닥의 고래(큰 손)'로 확인된 일본 소프트뱅크그룹이 전날 일본 증시에서 7.2% 급락한 것이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 미중 무역갈등 재점화 우려로 주요 반도체주도 일제히 하락했다. 엔비디아가 5.6%, 마이크론이 3.2%,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가 8.7% 각각 떨어졌다.
반면 '제 2의 테슬라'로 주목받고 있는 니콜라는 40.79%나 급등했다. 제너럴모터스(GM)가 20억달러를 투자해 니콜라의 지분 11%을 획득했다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이다. 이에 GM 주가도 7.93% 상승했다.
이날 업종별로는 전 업종이 하락한 가운데 기술주가 4.59% 추락했다. 국제유가가 폭락한 영향으로 에너지도 3.71% 내렸다.
연이은 대폭 조정에도 불구하고 나스닥은 3월 말 바닥과 비교해 여전히 70% 이상 오른 상태다. 이에 미국 투자 전문가들은 추가 조정 가능성도 내놓고 있는 상황이다.
밀러타박 자산운용의 매트 말리 수석시장전략가는 CNBC에 "10% 이상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최민희, 축의금 돌려줘도 뇌물"…국힘, 과방위원장 사퇴 촉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