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의 자녀 학자금 관리 부실을 알린 부패신고자에게 약 7억6천만원의 보상금이 지급됐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직원에게 자녀 학자금을 대출해주고 이를 적극 회수하지 않는 등 공공기관의 부실한 학자금 관리를 신고한 사람에게 7억6천382만 원의 보상금을 지급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신고로 회수한 금액은 약 144억원에 달한다. 임직원에 대한 과다한 후생복지 등 공공기관의 방만한 경영에 경종을 울린 사안이라는 게 권익위의 설명이다.
A공사는 정부의 2008년 공기업 선진화 추진방향 발표 이후 B공사, C공사와 통·폐합돼 새롭게 출범했다.
통합 이전 C공사는 자녀학자금을 정상적인 대출방식으로 운영한 반면 B공사는 노사 간 단체협약에서 대학생 자녀 학자금을 대출방식으로 지원하기로 한 뒤 노사 간 보충협약에서 이를 사내근로복지기금 법인에서 무상으로 대체했다. 사실상 무상지원을 했던 것이다.
A공사는 권익위에 부패신고가 접수될 당시 소송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할 의무가 있음에도 학자금 상환시기가 지난 572명, 144여억 원의 자녀 학자금을 적극 회수하지 않고 몇 차례의 형식적인 상환촉구 문서 통보만 한 채 방치하고 있었다.
권익위가 2014년 조사에 착수하자 A공사는 학자금 관리 부실로 부서주의 및 관련자 24명에 대해 경고·주의 조치하고, 사내복지근로기금 법인을 대상으로는 퇴직금 유보제도를 시행했다. 또 재산 가압류 및 대출학자금 상환 청구 소송을 제기해 지난해 대법원 판결 때까지 여섯 차례에 걸쳐 144여억 원을 회수했다.
권익위는 부패신고로 조사에 착수하지 않았다면 재산상 손실이 더 컸을 것이라는 점 등을 들어 대규모의 보상금을 지급했다. 대학생 자녀 학자금을 무상지원이 아닌 융자지원 방식으로 변경토록 한 예산편성지침을 위반한 점 등도 종합적으로 감안했다. 권익위는 신고자의 신상 보호 등을 위해 공공기관이 어딘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한삼석 권익위 심사보호국장은 "노사 간 협약이라는 이유로 방만하게 운영되던 공공기관의 대학생 자녀 학자금 등 복리후생 제도가 건전하게 운영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길 바란다"며 "신고가 활발하게 이뤄지도록 하반기에도 부패‧공익신고자에게 보상금 등을 적극 지급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