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등 4개 대학 병원장들이 의대생에게 의사 국가시험 재응시 기회를 달라고 고개를 숙였다. 하지만 정부는 국민 여론이 안 좋다며 재응시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김영훈 고려대의료원장, 김연수 서울대병원장, 윤동섭 연세대의료원장, 김영모 인하대의료원장은 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대국민 사과 성명을 발표했다.
김영훈 원장은 "코로나19로 힘든 시기에 의대생이 국시 문제로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려 깊이 사과드린다"며 "팬데믹이 언제 종식될지 모르는 엄중한 시점에서 2천700여명의 의사가 배출되지 못하는 상황은 상상하기조차 싫은 심각한 의료공백이며, 이후 약 5년간의 파급 효과, 의료 질 저하가 심히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어 김 원장은 "질책은 선배들에게 해달라"며 "6년 이상 열심히 학업에 전념해 잘 준비한 의대생들이 미래 의사로서 환자 곁을 지킬 수 있도록 1번만 기회를 허락해 달라"고 호소했다.
주요 병원장이 공식 석상에서 의대생의 국시 재응시를 허용해달라고 요구하고 국민에 양해를 구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올해 의사 국시에는 전체 응시대상자 3천172명 가운데 14%인 446명만이 응시했다.
하지만 정부는 여전히 '재응시 불가'라는 입장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날 백브리핑에서 "병원장들이 의사 국시 추가시험 허용을 요청했지만, 정부 입장은 변함없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병원장들의 사과에 젊은 의사들의 필수진료 거부에 대한 언급이 없어 아쉽다"며 "국시 기회 부여를 위한 국민 여론조사를 진행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병원장들은 성명 발표 후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과 간담회를 갖고 국시 재응시 기회를 달라고 요청했다. 전 위원장도 "의대생 국시 문제는 우선 절대적으로 국민적 공감대가 있어야 가능하다"고 선을 그은 상태다.
서울의 주요 병원장들이 고육지책으로 의대생을 대신해 사과에 나섰지만, 정부는 의료인력 수급에 대해 구체적인 대안 마련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대구의 한 대학병원장은 "의대생들이 무슨 잘못을 했다고 석고대죄를 하라는 것이냐"며 "오히려 원인을 제공한 정부가 여론을 선동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