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시가 생활폐기물 에너지화시설(SRF)의 배출가스 중 다이옥신에 대한 연속 감시시스템을 구축해 365일 관리·감독에 들어간다.
포항시는 예산 3억원을 들여 프랑스 테코라 사의 다이옥신 연속포집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이 설비는 6주 연속으로 시료를 정밀하게 샘플링하고 다이옥신 배출농도를 분석할 수 있다. 본격적인 가동은 12월부터 들어갈 예정이다.
현재 다이옥신 측정·분석은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공정시험 기준'에 따라 배출구에서 4시간 시료를 포집해 이뤄진다. 법정 측정횟수는 연 1회이지만, 포항시는 연 4회 측정하고 있다.
한편 포항시는 SRF시설 인근 4개 지역(오천읍 2곳·제철동 1곳·청림동 1곳)의 대기 중 다이옥신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19년부터 연 2회 측정을 실시 중이다. 올해 하반기 측정은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의뢰, 지난 22~23일 실시했다. 결과는 분석이 끝나는 대로(30일 소요) 주민들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가장 최근 측정 결과인 지난 6월 10일 분석에선 0.000ng-TEQ/S㎥(법적 기준 0.1ng-TEQ/S㎥이하)로 나타났다.
신정혁 포항시 자원순환과장은 "상시 다이옥신 포집시스템 구축을 통해 주민들이 보다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이 되도록 SRF시설 관리를 더욱 철저히 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