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건희 별세] 삼성전자로 본 경영성적…주가 50배, 시총 500배↑

주가 2만7천원→134만원, 시총 4천억→197조

서울 서초구 삼성 서초사옥에 걸린 깃발이 바람에 휘날리고 있다. 자료사진. 연합뉴스
서울 서초구 삼성 서초사옥에 걸린 깃발이 바람에 휘날리고 있다. 자료사진. 연합뉴스

'주가 50배, 시가총액(이하 시총)은 500배'.

이건희 회장이 삼성전자를 이끈 27년 간 삼성전자의 눈부신 경영성적표다.

25일 삼성전자와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건희 회장이 1987년 11월 삼성그룹 회장에 취임했을 당시 삼성전자의 주가는 2만7천원대로 시총 역시 4천억원대로 10위권에 불과했다. 하지만 2014년 5월 이 회장이 병환으로 경영 일선에서 물러날 당시 삼성전자 주가와 시총을 취임 당시와 비교하면 주가는 단순 수치로만 약 50배(증자·액면분할 등 반영한 수정주가 기준 약 100배), 시총은 약 500배로 치솟았다.

삼성전자를 가전업체에서 지금의 세계적인 정보기술(IT)업체로 도약시킨 최대 원동력은 이 회장이 주도한 '반도체 사업 진출'이다.

이 회장은 삼성전자 경영 일선에 나서기 이전인 이미 1974년 한국반도체를 사재로 인수하면서 발판을 닦은 뒤 취임 직후인 1988년 삼성반도체통신을 삼성전자에 합병시켰다. 이후 1992년 세계 최초로 64M D램 개발에 성공하며 세계 반도체 시장의 강자로 부상했다.

취임 5년 차인 1993년에는 '마누라와 자식만 빼고 다 바꾸라'는 말로 잘 알려진 신경영 선언을 통해 '제2창업'에 나섰고, 반도체 사업의 성공에 안주하지 않고 휴대전화 시장 개척에 착수했다.

2007년 애플의 아이폰 출시로 삼성의 휴대전화 사업이 위기를 맞기도 했지만 잠시 경영일선에서 물러났던 이 회장이 2010년 복귀하면서 그룹 역량을 총 결집해 내놓은 '갤럭시S'로 분위기를 반전시켰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