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에 대구에서는 대구는 물론, 경북의 앞날까지 걱정하고 지역 발전을 이끌 역할을 맡겠다는 목표 아래 두 단체가 출범했다. 지난달 29일 발족한 '포스트코로나 뉴대구운동, 함께'(약칭 뉴대구운동)와 이에 앞서 24일 창립한 '지역균형발전 대경포럼'이란 시민사회단체이다. 두 단체 모두 대구경북에서 여러 분야에 걸쳐 활동하는 다양한 인사들이 참여한 점이 공통적이다. 대구경북을 아끼는 사람들 모임이니 기대도 크지만 걱정도 없지 않다.
대구에서 대구경북 지역민들을 위한 역할을 자임(自任)하며 생긴 자발적 단체는 많다. 특히 지난 1995년 지방자치단체장의 민선 출범 이후 이 같은 민간 단체는 우후죽순처럼 나왔다. 이는 과거와 달리 단체장을 주민 스스로 뽑은 결과였다. 이들 단체는 민선 단체장과 함께 손발을 맞추기도 했지만, 선출직 지방의회와는 또 다른 차원에서 견제 기능을 하면서 지역 발전의 견인에 대한 기여와 다양한 지역 민심을 전달·반영하기도 했다.
이처럼 달라진 지방자치 행정의 틀에서 많은 단체가 생겼다 없어졌지만 시민사회단체로서 건강한 역할로 긴 생명력을 갖춘 사례도 있다. 지난 1996년 1월 등장한 '대구사랑운동시민회의'와 그해 3월 창립된 '새대구경북시민회의', 1998년 4월 선을 보인 '대구참여연대'는 선례가 될 만하다. 물론 '새대구경북시민회의'는 2004년 '대구참여연대'와 통합하면서 옛 이름이 사라졌지만 통합된 대구참여연대로 그 정신과 역할은 이어졌다.
지금도 활동 중인 두 단체가 대구에서 일궈낸 일은 이미 많은 평가를 받았고, 널리 알려질 정도에 이르렀다. 민선 지방자치단체 출범 역사와 궤를 같이했으니 올해로 벌써 25년 사반세기의 연륜이다. 대구를 아끼고 위하는 단체가 많을수록 반갑겠지만 현실은 짧은 수명에 그치고 명멸(明滅)한 모임이 더욱 많았다. 하루살이의 단기간 이익과 목적을 겨냥한 단체가 아닌, 긴 호흡과 질긴 생명력을 갖춘 단체와 모임이 대구에 생겨나길 바라는 까닭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