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집합제한에 못 살겠다"…대구 클럽 업주들 삭발 시위

수차례 보상 요구하고 있음에도…보상 대책 없어

대구지역 클럽 및 나이트클럽 업주들이 10일 오후 대구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유흥업소 집합금지 명령 철회 등을 촉구하며 삭발을 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대구지역 클럽 및 나이트클럽 업주들이 10일 오후 대구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유흥업소 집합금지 명령 철회 등을 촉구하며 삭발을 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대구의 클럽·나이트클럽 종사자들이 삭발을 감행하면서까지 집합제한조치에 대한 대책을 촉구했다.

지역 클럽·나이트클럽 등 유흥시설 종사자 30여 명은 10일 대구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형평성에 어긋나는 방역지침 때문에 유흥시설 업주들은 생존권을 위협받는 등 벼랑 끝에 떠밀려 있다"며 "집합제한조치에 대한 최소한의 보상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지난해 2월부터 대구지역 유흥업소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자진 휴업에 나서면서까지 방역지침에 적극적으로 협조했다"며 "하지만 정부와 대구시는 이에 대한 대책 없이 지난 한 해 동안 희생만을 강요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수차례 보상을 요구하고 있음에도 시가 뒷짐을 지고 있다는 불만이 쏟아져 나왔다. 이들은 최근 모두 세 차례 1인 시위·집회를 열고 지원책을 마련해 달라고 요구했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방안은 세워지지 않고 있다. 현재 대구지역 유흥시설 1천800여 곳은 지난해 12월 24일부터 집합제한금지 조치로 운영을 중단한 상태다.

일부 업주들은 삭발을 하면서까지 조속한 대책을 호소했다. 대구 서구 중리동에서 나이트클럽을 운영하는 A(50) 씨는 "지난해 2월 말 업장 문을 닫은 이후 한 달 정도 문을 연 뒤 계속 장사를 못하고 있다"며 "나이트클럽은 규모가 커서 한 달 관리비가 최소 500만원은 나가는 탓에 수입이 없으면 생계를 유지하기 힘들다"고 했다.

이들은 "유흥시설만 희생양으로 삼는 정책은 형평성에 어긋나므로 최소한의 생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유흥시설 외 집합금지나 영업시간제한 조치가 이뤄졌던 다른 시설은 그에 합당한 보상을 받고 있다"며 "생계형 유흥시설 종사자를 이들과 같은 소상공인으로 대우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현재 소상공인 버팀목자금을 받지 못하는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지원금을 추가 지급하고 있으나 유흥시설은 이에 포함되지 않는다"며 "4차 지원금 지급 등 지금과 상황이 달라지면 추가 지원이 가능한지 검토하겠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