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조차 생소한 아프리카 국가, '차드'(Chad)에서 한국으로 유학 온 학생이 있어 화제가 되고 있다. 한국의 토종 학문 '새마을학'을 배우기 위해서다.
주인공은 올해 3월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대학원 새마을국제개발학과에 입학한 차드 출신의 에이사 타헤르 구르발 유세프(Eissa Taher Gurbal Yousef·36) 씨. 언어는 물론 음식과 생활 방식 등 모든 것이 낯선 한국으로 유학을 결심한 이유는 단 하나, 새마을운동에 대해 공부하고 국가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는 다짐 때문이다.
말레이시아 툰압둘라작대학교(University Tun Abdul Razak)에서 정부및공공정책학을 전공한 에이사 씨는 "2015년 정치경제학 수업에서 한국의 새마을운동 성공 사례와 박정희 대통령에 대해 배울 기회가 있었다. 그때 한국에서 새마을운동에 대해 더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2015년 9월에 교환학생 프로그램으로 영남대 정치외교학과에서 수학하며, 졸업 후 영남대 박정희새마을대학원 유학을 결심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차드는 가난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전략과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에게는 박정희 대통령과 같은 리더십과 차드식 새마을운동과 국제개발협력 모델이 필요하다"고 한국으로 유학을 결심한 동기를 밝혔다.
영남대 박정희새마을대학원에는 2011년 설립 이후 지금까지 70개 국가에서 762명의 유학생이 입학했다. 차드 출신은 에이사 씨가 처음으로, '새마을학'을 배우기 위해 영남대를 찾은 70번째 국가다. 설립 10년 만에 70개 국가에서 찾은 대학은 학부와 대학원을 포함해 사례를 찾기 힘들다.
에이사 씨는 "영남대에서 유학하며 한국의 새마을운동 사업과 정부의 역할에 대해 구체적으로 배우고 싶다. 또한 새마을운동의 이론과 실천, 새마을개발 응용 방법과 리더십을 통해 마을 사람들을 이끌고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배우고 싶다"며 "대학원 졸업 후, 차드 정부에서 일하고 싶다. 무엇보다도 차드의 빈곤 극복에 앞장서겠다"고 전했다.
최외출 영남대 총장(전 새마을국제개발학과 교수)은 "새마을운동을 학문으로 발전시켜 필리핀과 캄보디아 대학에 새마을경제개발학과 설치와 운영을 지원해 왔다. 영남대학교는 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 탄자니아, 잠비아, 르완다뿐만 아니라, 아시아의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타지키스탄 등의 정부와 대학 차원에서도 새마을학의 전수와 공유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전문인력 양성에 역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