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범계 법무부 장관이 검·경찰 간부, 정치권 및 언론계 인사 등에게 금품 로비를 한 수산업자 김모 씨의 특별사면에 대해 "문제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박 장관은 "그 사람의 죄명, 전과, 복역률, 형집행률, 당시 특별사면 규모 등에 비춰 하등 문제가 없었다"며 "장담한다"고 했다.
김 씨는 2016년 1억 원대 사기 혐의로 징역 2년을 선고받고, 복역 1년 7개월 만인 2017년 12월 문재인 정부의 첫 번째 특별사면으로 풀려났다. 그의 특별사면을 두고 국민의힘에서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것은 미심쩍은 구석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당시 정부는 6천444명을 사면하면서 "형사 처벌이나 행정 제재로 생계에 애로를 겪는 서민 부담을 더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밝혔다. 하지만 김 씨처럼 피해자가 분명히 있는 데다 장기간 도피하며 변제를 하지 않는 등 죄질이 나쁜 경우엔 사면이 안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적으로 합의가 되지 않고 피해 회복이 되지 않은 경우엔 가석방조차 잘 안 해준다. 김 씨가 특별사면으로 풀려난 경위에 의혹이 제기되는 것은 당연하다.
특별사면으로 출소한 김 씨는 범죄와 단절하기는커녕 풀려난 지 6개월 뒤부터 사기에 나섰다. 1억 원대 사기를 벌여 교도소에 갔던 범죄자가 특별사면으로 출소해 116억 원대 사기를 저질렀다. 결과적으로 특별사면이 된 김 씨로 인해 더 많은 사기 피해자들이 양산된 것이다.
청와대도 "김 씨의 형집행률이 81%로 사면 기준에 부합했다"며 "청와대와는 아무 상관이 없다"고 주장했다. 박 장관과 청와대는 사면 기준을 들먹였지만 피해자에게 합의금도 제대로 주지 않은 사기범을 특별사면한 것은 부적절했다. 박 장관과 청와대 주장에 수긍할 수 없는 것은 이 때문이다. 사기범을 이례적으로 특별사면한 사안을 어물쩍 넘겨서는 안 된다. 일부에서 제기된 '청와대 개입설'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김 씨의 특별사면 경위에 대해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 검경 수사권 조정으로 수사권이 대폭 확대된 경찰은 조직의 명운을 걸고 적극 수사하기 바란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