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지난해 추미애 당시 법무부 장관과 이른바 '추-윤 갈등' 때 "문재인 정부가 추미애 장관과 같이 물러나면 징계는 없는 것으로 하겠다고 사퇴를 압박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언급할 가치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윤 전 총장은 9일 보도된 경향신문과 인터뷰에서 "대통령 뜻으로 봐야 하지 않겠느냐"며 이 같이 말했다. 이어 윤 전 총장은 지난 3월 검찰총장직 중도 사퇴 이유에 대해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과 중대범죄수사청 설립을 문 대통령 복심으로 통하는 김경수 경남도지사 등이 작정하고 추진하려는 것을 보고 검찰을 떠나는 게 낫겠다고 판단했다"면서 "올 7월 24일까지 총장 임기를 마무리하려 했지만 월성 1호기 경제성 조작 사건에 대한 굉장한 압력에 더는 남아 있을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윤 전 총장은 또 "두 번째 직무정지도 지난해 12월 24일 풀고 신현수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과 인사 공감대를 만들어가는 중이었는데 월성원전 수사팀의 백운규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를 내가 재가하자 박범계 장관이 신 수석도 패싱하고 검찰 대검 검사(검사장)급 인사를 했다"며 "구속영장 청구가 당연한 사안이라 수사팀 의견을 검찰총장이 거부하고 불구속 지시를 내릴 순 없었다"고 주장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수사와 관련해 문 대통령에게 독대를 요청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내가 무슨 원한이 있다고 그렇게 하겠나"라며 "공무원은 대통령이 오라고 하면 만나는 거지 독대 요청을 한다는 건 말이 안 된다"고 부인했다.
아울러 부인 김건희 씨를 둘러싼 이른바 '쥴리' 의혹에 대해서는 "아내는 술 마시고 흥청거리는 것을 싫어한다"며 "이런 사람이 술집에 가서 이상한 짓 했다는 이야기가 상식적으로 안 맞다"고 일축했다. 윤 전 총장이 'X파일' 논란 이후 가족 관련 의혹에 직접 해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편,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 전 총장 주장에 대해 "청와대는 민생과 방역을 챙기기에도 바쁘다"며 "언급할 가치가 없다"고 했다.
김경수 지사 측도 "그동안 검수완박, 중대범죄수사청 설립과 관련해 어떤 공식적 입장을 내거나 공개발언한 사실이 없다"며 "윤 전 총장 발언은 전혀 사실이 아니며 명백한 왜곡"이라고 반발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