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상혁(25·국군체육부대)이 비록 메달은 목에 걸지 못했지만, 금메달보다 값진 한국 육상사(史)를 썼다.
남자 높이뛰기 한국 신기록과 한국 육상 트랙&필드 경기 종목(메달 기록이 있는 마라톤을 비롯해 경보 등 도로 경기 종목 제외) 올림픽 최고 순위 기록을 쓴 것.
1일 도쿄 올림픽 스타디움(신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0 도쿄올림픽 육상 남자 높이뛰기 결선에서 2m35를 넘으며 4위를 차지한 것이다.
▶2m35는 지난 1997년 6월 20일 전국종별선수권대회에서 이진택이 세운 2m34를 1cm 넘은 기록이며, 우상혁 자신의 올림픽 전 개인 최고 기록인 2m31도 4cm나 높인 것이다.
또한 이날 기록한 4위는 이진택이 1996년 애틀란타 올림픽 남자 높이뛰기 결선에서 8위(2m29)를 차지한 것에서 4계단 상승시킨 것이다.
이진택 이후 육상 트랙&필드 종목의 '8'이라는 숫자는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남자 멀리뛰기의 김종일, 1988년 서울 올림픽 여자 높이뛰기의 김희선 둘 다 8위에 오르면서 깨지 못했는데, 이번에 우상혁이 한껏 올린 것이다.
▶이날 우상혁은 2m19부터 2m30까지 단 한 차례 실패도 없이 1차 시기에 넘었다. 이어 2m33은 1차에서는 실패했으나 2차 시기에서 넘었다. 그리고 2m35마저 넘기며 한국 신기록을 수립했다.
이어 우상혁은 2m37을 1차에서 실패한 후 이를 건너뛰고 당차게 2m39에 도전했으나, 결국 바를 넘지 못했다.
이번 도쿄 올림픽 남자 높이뛰기에서는 2m37을 넘은 카타르의 바르심, 이탈리아의 탐베리가 성공 횟수 및 시기 수까지 똑같아 공동 금메달을 차지했다. 이어 은메달이 없는 동메달은 역시 2m37을 넘은 벨로루시의 네다세카우가 목에 걸었다.
그 다음 순위가 바로 우상혁이었다.
한편, 우상혁은 시도 전 손뼉을 치며 응원을 유도하고, 시도 후 성공을 했거나 실패를 했거나 상관 없이 환호하는 얼굴 표정이 잇따라 카메라에 잡혔으며, 이날 마지막 시도 후에는 군인 신분으로써 '카리스마' 있게 거수 경례를 하더니, 경기 종료 후 태극기를 등 뒤로 펼쳐 들고는 다시 해맑게 웃는 등의 장면이 지켜보는 국민들에게 '볼매'(볼수록 매력)의 인상도 강하게 남겼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