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치료를 환자 특성에 따른 맞춤형으로 진행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포스텍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통합과정 조원우씨, 부산대 의생명융합공학부 김병수 교수, 베이징 이공대학 가오그 교수 연구팀이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혈관화된 전이성 암 체외 모델을 제작하는데 성공했다. 환자에게 채취한 암세포나 줄기세포를 배양해 사전에 약물반응을 시험한 뒤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 이 기술을 이용하면 다양한 직경을 가진 암 스페로이드 혈관 제작도 가능하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스몰 메소드'에 게재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실제암과 유사한 성질을 가지는 체외 모델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암 세포들을 서로 응집된 스페로이드(3차원으로 배양된 세포의 원형집합체) 형태로 배양해야 한다.
특히 암 전이를 보다 정확하게 재현하기 위해서는 크기와 혈관으로부터의 위치 등을 잘 모사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제작 기술의 한계로 인해 이러한 암의 병리학적 특성들을 모사한 체외 모델은 불가능했다.
이에 연구팀은 3차원 암 스페로이드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세포 프린팅 기술을 개발했다.
크기 조정과 위치 제어가 가능한 3D 암 스페로이드(500–1000µm)를 바이오잉크 내에서 직접 프린팅하는 방법이다.
연구팀은 스페로이드의 크기 조절을 통해 저산소증 영역 형성을 확인하고, 전이 관련 유전자 발현 정도를 비교했다.
또 혈관을 암 스페로이드와 함께 프린팅해 체외 암-혈관 모델을 제작, 혈관과의 거리에 따른 암 전이 양상의 변화를 확인했다.
아울러 암의 미세환경에서 발생하는 혈관의 기능 장애와 새로운 혈관 생성, 염증 현상 등도 암과 혈관 사이의 거리 조절을 통해 유발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조동우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균일한 크기의 암 스페로이드를 빠른 시간에, 원하는 위치에 프린팅 할 수 있게 됐다"며 "이 기술을 통해 암이 혈관으로 전이되는 양상을 보다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