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대표와 유력 대선주자 캠프의 충돌로 시끄러운 제1야당의 내홍이 일단락 분위기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23일 자중지란(自中之亂)을 촉발한 책임을 통감한다고 공개석상에서 사과의 뜻을 밝혔고, 지지율 선두를 달리고 있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보다 철저한 '집안 단속'을 약속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내에선 정권교체라는 '대의'와 당면한 언론중재법 대응을 위해 양측이 발톱을 숨겼을 뿐 근본적인 화해는 아니라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경선규칙 변경 등 당 대표와 지도부의 동의가 필요한 쟁점 사안이 불거지면 언제든지 다시 충돌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당 대표로서 지금까지 경선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있었던 모든 분란과 다소간의 오해가 발생했던 지점에 대해 겸허하게 진심을 담아 국민과 당원께 사과의 말씀 올린다"며 "비록 그 방법론과 절차에 있어서 다소 이견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제 선거관리위원회가 출범하는 이상 이런 이견보다는 정권교체를 향해 모두 결집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대표로선 '자위권' 차원에서 유력 대권주자의 무력시위에 대응한 것이겠지만, 원희룡 전 제주도지사와 벌인 '녹취록' 진실공방과 경선준비위원회 월권논란은 보수진영 전반의 우려를 사기에 충분했다는 지적이다.
이 대표가 한 발 물러서자 윤 전 총장 측도 연이은 캠프 관계자들의 과격 발언에 대해 더욱 철저히 단속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윤 전 총장 캠프의 핵심관계자는 23일 통화에서 "캠프 외형이 커지면서 개별 구성원의 발언을 일일이 통제하기 어렵게 됐다"며 "내부적으로 주의를 촉구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적절한 조처를 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정치권에선 두 진영의 화해몸짓은 '눈 가리고 아웅하는 격'에 불과하다는 평가가 많다. 갈등의 핵심인 두 사람의 '주변'에서 대리전을 펼치는 양상으로 대결국면이 확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대표의 우군으로 평가받고 있는 유승민 전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윤 후보께 단도직입적으로 묻겠다. 윤석열 캠프의 핵심 인사들, 윤 후보와 가까운 인사들은 도대체 무엇을 노리고 도발을 하는 건가"라고 따졌다.
당내 일각에선 이 대표를 향한 윤 전 총장 참모들의 도발 발언이 이어지면서 고도로 기획된 '치고 빠지기' 수법 아니냐는 비난도 터져 나오고 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당사자인 이 대표와 윤 전 총장은 품격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처신을 하겠지만 두 사람을 뒷받침하는 세력들이 쟁점현안을 두고 진검승부를 펼치고 있다"며 "양측의 힘겨루기는 경선기간 내내 계속될 공산이 크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