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8일 "상생형 지역 일자리는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전략이자 우리가 가장 잘할 수 있는 전략"이라며 앞으로도 정부가 집중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1 상생형 지역 일자리 포럼'에서 임서정 청와대 일자리수석이 대독한 축사를 통해 이 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서면 축사에서 "지난 4월 광주형 일자리 공장 준공식에서 들었던 한 청년의 이야기가 기억에 남는다"며 그 청년은 "다녀보니 너무 좋습니다. 시설 좋고, 사람 좋고, 특히나 밥이 제일 맛있습니다"는 말을 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나누는 마음이 모이면 그만큼 많은 것이 좋아지는 것 같다. 그렇게 노동자와 기업, 지역민이 함께 꿈을 키웠고, '캐스퍼'(광주형 일자리에서 생산한 자동차) 열풍이 만들어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광주에서 시작한 상생형 지역 일자리는 이제 전국 8개 지역, 9개 상생 협약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노사 간, 원·하청 간, 지역주민과 기업 간 다양한 상생 모델을 개발해 51조원의 투자와 13만 개 일자리를 만들며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또 "길만 찾는다면 정부는 언제든지 전폭 지원할 것"이라며 "혁신적 포용 국가의 미래를 여는 상생형 지역 일자리를 응원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상생형 지역 일자리란 지역경제 발전과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기업, 근로자, 지역주민, 지자체가 협력해 생산공장 등을 가동하는 모델을 말한다.
대구에서는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따른 상생형 지역 일자리 협약이 두 차례 체결됐다. 2019년 달성군 소재 자동차 부품업체인 '이래 AMS'가 첫 사례이다. 이어 지난달 11일 대구시와 ㈜대동, ㈜대동모빌리티 등이 두 번째 협약을 체결했다. 대구시는 이를 통해 향후 모빌리티, 로봇 등 미래형 일자리 800개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