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민단체가 오는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현역 단체장과 광역·기초의원 가운데 후보 부적격자 77명을 발표했다.
4년 전 지방선거에서 대구 시민들이 선출한 공직자 156명 중 절반에 가까운 49.35%가 자질 논란에 휩싸인 셈이다.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후보 부적격자를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19일 오전 11시 열었다.
시민단체에 따르면 현역 단체장 가운데 배기철 동구청장과 김대권 수성구청장이 부적격후보로 이름을 올렸다. 배 청장은 부동산, 갑질·막말 등 부적절한 처신이, 김 청장은 부동산 문제가 지적됐다.
현역 대구시의원 중에서도 의정활동 미흡, 부동산 문제, 갑질 논란 등으로 부적격자가 속출했다. 국민의힘 소속 김대현·김재우·박갑상·안경은·윤기배·이만규·전경원 시의원과 더불어민주당 소속 이진련 시의원 등 8명이다.
기초의원 부적격자는 모두 67명으로 집계됐다. 구정·군정 질문을 한 번도 하지 않았거나 부동산 투기, 음주운전 등 비위를 저지른 기초의원이 선정됐다.
시민단체는 "임기 동안 집행부를 상대로 공개적인 질문을 단 한 차례도 하지 못한 의원이 상식적으로 집행부를 견제하고 감시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비판했다.
정당별로는 국민의힘이 40명, 더불어민주당이 22명, 무소속이 5명이었다. 부적격자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남구의회로 8명 가운데 7명(87.5%)이 자질 논란을 빚었다.
그다음으로는 15명 중 12명이 꼽힌 동구의회(80.8%)와 22명 중 17명이 이름을 올린 달서구의회(77.3%)가 뒤를 이었다. 가장 낮은 곳은 수성구의회였다. 20명 가운데 4명(20%)이 부적격자로 분류됐으며 8개 구·군 전체 평균은 60.4%였다.
시민단체는 "여야 간, 의원 간 치열한 정책 경쟁과 상호 견제만이 지방의회를 살리고 지역 정치를 활성화할 수 있다"며 "각 정당은 줄 세우는 낡은 구태 정치에서 탈피해 제대로 된 일꾼으로 유권자에게 희망을 주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