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7일 이달 중 오는 2024년 포화 위기를 맞는 명복공원 현대화 사업에 관한 갈등 관리 연구용역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번 용역을 통해 화장로 증설 등 현대화 사업에 반대해 온 주민들과의 접점을 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앞서 지난 5월 대구시는 대구경북 상생협력사업으로 경북도에 화장장 공동 신설을 제안했지만 현재까지 의지를 보인 지자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 관계자는 "현 상황에서 다른 지역을 찾는 게 어렵다. 일단 명복공원 확장(현대화 사업)에 주력하기 위해 이번 용역을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5천만원의 예산을 들이는 이번 용역은 명복공원 확장에 따른 갈등을 유형별로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 주민들의 요구사항 등 의견을 수렴하는 공청회 절차도 담겨 있다. 용역 기간은 8개월로 내년 7월까지 진행한다.
지난 1925년 남구 대명동에 처음 건립된 명복공원은 1966년에 현 위치인 수성구 고모동으로 이전했다. 화장로 6기를 시작으로 1986년 3기, 2007년에 2기를 각각 증설해 현재 11기를 보유하고 있다. 이 가운데 1기는 예비용이며, 평소에는 10기를 가동하고 있다.
코로나19의 여파로 명복공원은 이미 지난해 1만5천313구를 소화하면서 가동률 93%를 기록했다. 명복공원은 1년에 최대 1만6천425구의 시신을 화장할 수 있다. 화장을 선호하는 장례문화와 고령화의 영향으로 매년 2.9%씩 화장 건수가 늘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오는 2024년 화장 수요는 1만6천733구로 최대 가동 능력치를 초과하게 된다.
60년이 다 된 화장로에 투입되는 유지보수 비용도 문제점으로 꼽혀왔다. 시에 따르면 올해 책정된 유지보수 비용만 14억6천400만원에 달한다. 시설 확장 없이는 막대한 예산이 지속적으로 투입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주민들은 여전히 재산권 등을 이유로 시설 확장에 반대하고 있다. 지난 2020년에도 국‧시비 477억원을 들여 화장로를 16기로 증설하려 했지만 주민 반발로 무산됐다.
주민 A(70) 씨는 "과거부터 있는 시설이야 어쩔 수 없겠지만 확장은 모두가 반대하는 분위기"라며 "슬픔과 울음이 가득한 곳을 넓히면 집값 등 재산권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인근에 수백세대 규모의 아파트도 들어선다는데 누가 좋아하겠나"며 반대 의사를 강하게 드러냈다.
시 관계자는 "주민들의 반대가 너무 심하다면 그에 따른 원인을 분석하고 다른 방법도 생각해야 한다"면서도 "현 명복공원 현대화사업은 더 이상 늦춰져서는 안 된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번 용역을 통해 이해관계 당사자들의 갈등을 풀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