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22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미래 과학자와의 대화'에서 "노벨상이 나올 때가 됐다. 한번 나오면 이제 쏟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올해 대통령과학장학생으로 선정된 대학생 140명과 국제과학올림피아드 분야별 수상자인 중·고생 44명을 만나 "여러분 중에서도 앞으로 많은 노벨상 수상자와 필즈상 수상자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격려했다. 이날 행사엔 윤 대통령 부인인 김건희 여사도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취임 후 많은 행사와 모임과 자리를 가졌지만 여러분을 만난 이 자리처럼 정말 기쁘고 뿌듯한 자리가 없었다"며 "정말 대통령이 할 수 있는 일 중에 우리나라의 과학 인재들을 만나 격려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보람된 일이라 생각한다"며 치켜세웠다.
또 윤 대통령 자신이 고등학생일 때 한국의 첫 올림픽 금메달이 나왔다며 "이제는 뭐 한 번 나갈 때마다 수십 개씩 따지 않느냐"며 "이제 우리 과학 수준도 임계점에 다다랐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 노벨상을 받았다고 해서 대통령이 이런 자리를 굳이 만들 필요가 없을 정도로 많이 나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한 나라의 수준과 과학 수준을 비교하면서 과학의 중요성을 역설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그 나라의 수준은 정확히 과학 수준과 정비례한다"며 "국정을 과학에 기반해 운영한다는 것은 전문가를 중시하고 진실을 중시하고 의사결정의 합리성을 중시한다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과학장학생으로 선정된 학생들에게 장학증서와 메달을,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수상자들에게 기념패와 부상을 직접 수여하며 축하했다.

한편 김 여사는 이날 구세군 한국군국이 주관하고 사단법인 굿피플인터내셔널이 후원하는 '이웃과 함께하는 2022 찾아가는 성탄절, 희망박스 나눔' 행사에 참석, 남대문 쪽방촌 주민들에게 식료품 등이 담긴 희망박스를 전달했다.
김 여사는 한 어르신댁을 방문, 건강과 안부를 물은 뒤 "앞으로 더 따뜻하고 덜 불편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보다 세심하게 정부와 지역 사회의 지원을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이날 행사는 2018년과 2021년 이후 세 번째로 개최됐는데, 대통령 배우자가 참석한 것은 김 여사가 처음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