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내 비이재명(비명)계의 이 대표에 대한 자진사퇴 요구가 본격화하고 있다.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6일 SBS라디오에서 이 대표의 자진사퇴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이 의원은 "민주당이 겪고 있는 검은 먹구름은 1차적으로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당이 송두리째 떠안고 있기 때문"이라며 "이걸 철저히 분리해야 되는데 당 대표직을 유지하면서 하긴 쉽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는 '당 대표에서 물러나면 사법리스크에 대응하기 쉽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 아닌가'라는 잘문에 "이 대표를 보호하는 건 민주당에 자기를 지지하는 국회의원이나 당원이 아니라 민심"이라고 말했다.
체포동의안 표결 전부터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를 저격해 온 박지현 전 비상대책위원장도 6일 비명계 이원욱 의원 등의 지원을 받아 기자회견을 열어 "이 대표가 두려워할 대상은 검찰이 아니라 국민이어야 한다. 대표가 결단하라. 국민이 지켜보고 있다"고 했다. 그는 사무총장과 전략기획위원장, 대변인단 등 '친명' 위주의 당직자 재편 및 외부인사로 구성된 민주당 혁신회의 설치 등을 요구하기도 했다.
비명계는 표결 직후 친명(친이재명)계 일각에서 나오는 '조직적 반란설'에 대해서도 본격 반박하고 나섰다.
김종민 의원은 MBC 라디오에서 "(의원들끼리) 서로 만나서 대화하고 심지어 집회를 해도 된다. 조직도 만들어도 된다. 그걸 문제 삼는 건 사고방식이 잘못 된 것"이라고 했다.
전재수 의원도 KBS라디오에서 "최근 10년 사이에 당 분위기가 최악"이라면서 이 대표가 강성 지지층 '개딸'의 공격을 더 자제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맞서 친명계는 "민주당 의원들이 일체의 계파 활동을 중단해야 한다"고 했다. '비명'계의 집단행동을 멈추라는 취지다. 안민석 의원은 BBS 라디오에서 "이런 식으로 분열해서 집안싸움을 하면 '폭망'하게 될 것"이라며 이처럼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