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권 광역철도·동해선 내년 말 개통…"TK 40분 생활권"

철도公 9개 사업 6천억 투입
동해선 전 구간 개통 시 포항∼삼척 55분 만에, 버스보다 2시간 15분 단축
'구미~대구~경산' 접근성 향상…서남부지역 교통 불편 해소

영남권 건설사업 노선도. 국가철도공단 영남본부 제공

영남권 건설사업 노선도. 국가철도공단 영남본부 제공

대구권 광역철도 '구미~대구~경산' 구간과 동해선 철도 '포항~삼척' 건설 구간을 내년 연말까지 개통한다. 대구경북이 40분대 단일 생활권으로 바뀌고, 포항에서 삼척까지 55분이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국가철도공단은 올해 영남권 9개 철도 건설 사업에 6천106억원을 투입한다고 18일 밝혔다. 이 가운데 61%에 이르는 3천725억원을 상반기 중 조기 집행한다.

영남권 일반철도 사업은 동해선 포항∼삼척 철도건설사업(1천866억원)과 포항∼동해 전철화 사업(2천563억원) 등 2개 사업으로, 올해 4천429억원을 투입한다.

내년 4월부터 시설물 검증시험, 영업 시험운전을 거쳐 내년 말 동시 개통할 계획이다.

동해선 포항∼삼척(166.3㎞) 단선철도 건설사업 가운데 1단계인 포항∼영덕 구간은 지난 2018년 1월 개통했다.

내년 개통 예정인 2단계 영덕∼삼척 구간은 공정률 90%를 목표로, 동해선 포항∼동해(172.8㎞) 전철화 사업은 공정률 95%를 목표로 각각 공사한다.

동해선 전 구간이 개통되면 포항에서 삼척까지 55분 만에 이동할 수 있다. 기존 버스보다 2시간 15분 이른 것이다.

이는 동해안권 여객·화물 수송 주요 철도망 역할을 하고 지역 개발을 촉진하며 장래 남북철도 및 대륙철도 연계에 대비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북 구미∼대구∼경북 경산(61.9㎞)을 잇는 대구권 광역철도 사업도 내년 하반기 중 개통 목표다. 총사업비 2천25억원 규모 사업으로, 올해는 공정률 93%를 목표로 사업비 889억원을 들인다.

사곡역 신축, 전 역사 승강장 안전문 설치 등에 중점을 둔다.

대구권 광역철도는 기존 경부선 선로 여유 용량을 활용한 저비용·고효율 사업으로, 개통 후에는 대구와 경북권을 40분대 단일 생활권으로 연결해 도시 간 연계성을 높이고 교통 불편도 해소할 전망이다.

대구권 광역철도 신설 역사인 서대구역은 지난해 3월 우선 개통해 고속철도 수혜지역을 확대하고 대구권 서남부지역의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킨 바 있다. 경북 칠곡군 수탁사업인 신설 북삼역도 오는 2025년 12월 준공 목표로 지난 2월 공사발주했다.

앞서 개통한 동해남부선 등 5개 사업도 연내 최종 준공을 목표로 전동열차 운행 노선에 스크린도어 설치, 기존선 구조물 철거 등 막바지 작업을 실시한다.

여기에는 ▷중앙선 영천~신경주 복선전철 건설사업(2021년 12월, 이하 개통 시기) ▷대구선 동대구~영천 복선전철(2021년 8월) ▷울산∼포항 복선전철(2021년 12월) ▷부산∼울산 복선전철(2021년 12월) ▷울산신항 인입 철도(2020년 9월) 등이 포함된다.

김공수 국가철도공단 영남본부장은 "제때 안전하고 편리한 철도 서비스를 제공해 거점 간 이동시간을 단축하는 등 철도서비스를 확대하겠다"며 "교통, 물류, 관광 등 영남권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