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성구 연호지구에 중소규모 미술관 유치부터… "단계적 미술관 클러스터 확장"

최근 관련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열고 방향 설정
대구미술관·간송미술관과 시너지 효과 기대
부지면적 좁고 민간소장품 공적활용 법적 근거 미비
"연호지구 중심 시각예술활동 증진, 전시공간 확대부터"

왼쪽부터 간송미술관·국립근대미술관 조감도, 대구미술관. 수성구청 제공
왼쪽부터 간송미술관·국립근대미술관 조감도, 대구미술관. 수성구청 제공

대구 수성구청이 연호지구에 추진하는 '미술관 클러스터'가 협소한 부지와 법적 근거 미비 등 제약으로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판단이 나왔다. 다만 중·소규모 미술관 등을 유치해 단계적으로 기능을 확장해나가는 방안이 대안으로 제시됐다.

수성구청은 지난 4일 구청장 공약사업 중 하나인 미술관 클러스터 조성에 대한 기본계획 및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결과를 공유했다.

이번 사업은 연호지구에 '미술관 클러스터'를 만들어 대구시립미술관, 간송미술관과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유발, 지역 예술기반을 획기적으로 강화하는 게 골자로 지난해 12월부터 관련 연구용역을 진행했다. 특히 전시·보관공간 부재로 묻혀 있는 개인미술 소장품을 공적영역으로 끌고와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을 염두에 두고 사업 방향을 구상해왔다.

연구용역 결과 당초 구상한 방향은 당장 실현 가능성은 떨어진다는 판단이 나왔다. 민간 소장품을 공적 영역에서 개방형 수장고 등 형태로 사회자원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법적 근거가 없는 점이 문제였다. 아울러 현재 개발 중인 연호지구 내 미술관 클러스터로 기능할 수 있을만한 규모의 부지 확보도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현재 연호지구 내 미술관 클러스터 계획 부지로 꼽히는 '자족지구4' 부지 전체가 9천㎡에 그치고 미술관 클러스터를 염두하고 있는 부지 면적은 이보다 작은 5천128㎡에 불과하다. 제주 저지예술인마을(32만여㎡), 네덜란드 로테르담 뮤지엄 파크(12만㎡), 민간 갤러리 300여개 이상이 있는 뉴욕 첼시 지구 등 등 국내외 사립 미술관 클러스터 사례와 비교해 차이가 크다.

대안으로는 4~5개의 중·소규모 공·사립 미술관 및 시각예술 관련 시설 유치가 꼽혔다. 우선 상호보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중·소규모 미술관들을 구성하고, 중·장기적으로 '미술관 클러스터'로 불릴 수 있을만한 확장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이다.

수성구는 추후 대구·간송미술관 등 주요 미술관과의 연계를 통해 클러스터 내 시각예술 시설에서 이뤄지는 활동의 파급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용역사 관계자는 "연호지구를 중심으로 시각예술 시설, 공공설치물을 늘려 지역 내 예술 활동을 증진하고 구민들의 관심을 높이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삼을만하다"며 "연호지구 일대 수변공간에 파빌리온(전시목적 임시건물)을 설치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고 제언했다.

연호지구
연호지구 '미술관클러스터' 구축 요도. 수성구청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