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0일 '사법리스크'에 시달리고 있는 이재명 당 대표를 정조준했다. 이 전 대표는 "당장 일주일에 며칠씩 법원에 가는데 '이런 상태로 총선을 치를 수 있을까'하는 걱정은 당연히 함 직하다"고 말했다.
이날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이 전 대표는 "당내 민주주의가 억압됐다"고 한 뒤 '당내 의원들이 개진하지 않는 문제에 어떤 게 있냐'는 물음에 이같이 답했다. 그는 지난 28일 이낙연계 싱크탱크 포럼에 참석해서도 이 대표 리더십 문제를 지적한 바 있다.
이 전 대표는 '왜 의원들이 입을 닫고 있다고 보나'라고 묻자 "공천이 걸려있거나 강성 지지자로부터 혼날까 봐 그러는 것도 있을 것"이라며 "조금만 그들 입맛에 안 맞는 얘기를 하면 행패를 부린다"고 했다. 이어 "끔찍할 정도로 적대적, 폭력적"이라고 더했다.
'이 대표가 어떻게 해야 한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엔 "그동안 오래 기다렸다. 더는 그 얘기를 하고 싶지 않다"고 했다. 이 대표를 향해 대표직 사퇴 등을 압박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전 대표는 최근 김종인 전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 비상대책위원장을 만난 사실도 공개했다. '창당 얘기가 오갔냐'는 질문에 이 전 대표는 "그런 얘기는 안 했다"면서도 "무엇이 국가를 위해 제가 할 일인지를 늘 생각한다"며 창당 가능성을 닫지 않았다.
내년 총선 선거제 개편안을 두고도 이 대표와 각을 세웠다. 이 전 대표는 "다당제에 도움이 되는 선거제를 가져오는 게 맞다. 위성정당 포기를 전제로 하는 준연동형 유지가 시대 요구에 더 맞다"고 했다.
이 대표는 지난 28일 자신의 유튜브에서 "이상적 주장으로 (총선에서) 지면 무슨 소용이 있겠나"라며 대선 당시 공약한 총선용 위성정당을 방지하는 연동형 및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포기할 수 있다는 분위기를 풍겼다. 현 연동형 제도가 유지돼 국민의힘이 위성정당을 만들면 민주당이 원내 다수당 지위를 뺐길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이에 대해 이 전 대표는 "우리가 지향한 가치와 배치되는 결정을 할 때 승리할지는 따져볼 필요가 있다. 국민은 승부와 관계없이 약속을 지키는 것을 더 바랄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