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여름 경북 예천 집중호우 실종자 수색 과정에서 숨진 해병대 채모 상병의 지휘관이었던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순직 사건의 책임이 부하와 육군에 있다고 주장했다.
7일 군과 법조계에 따르면 임 전 사단장은 지난달 21일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의 항명과 상관 명예훼손 재판을 진행하는 중앙군사법원에 188쪽 분량의 진술서를 제출했다.
진술서에서 임 전 사단장은 자신에게 과실치사 혐의를 적시한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보고서가 잘못됐고 이를 이첩 보류한 국방부 장관의 지시가 정당하다고 주장했다. 장관의 지시에 따르지 않은 박 전 수사단장의 항명죄가 성립한다는 것이다.
그는 진술서에서 "저의 현장지도 간 이뤄진 행위는 조금도 위법하지 않다"며 "어떠한 대화나 회의 중에도 '물에 들어가라'는 지시를 한 적 없으며, '물에 절대 들어가지 말라'고 수차례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군인권센터는 사고 발생 전날인 지난 7월 18일 채 상병이 소속된 중대의 카카오톡 대화방에 '바둑판식으로 무릎 아래까지 들어가서 찔러보면서 정성껏 탐색할 것'이라는 지시가 전파됐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임 전 사단장은 그런 지시를 내린 적이 없다며 "추측하건대 신속기동부대장이 사단장의 현장지도를 수행하면서 느낀 미흡사항이나 보완해야 할 사항을 전파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자신이 안전 장구를 챙기는 대신 해병대원들의 복장과 경례 미흡 등을 지적했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 "(부하가) 자신의 지휘에 힘을 싣기 위해 왜곡 및 과장해 전파한 것으로 판단된다"라며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해병1사단장 지시사항을 임의로 작성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임 전 사단장은 당시 집중호우 실종자 수색 작전통제권은 육군 50사단이 쥐고 있었다며 '육군 책임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그는 "현장 상황을 가장 잘 알고, 바로 조치할 수 있는 작전통제부대장인 육군 50사단장이나 현장지휘관이 가장 먼저, 가장 많이 안전확보에 대한 책임이 있음도 당연하다"며 "실제 작전활동이 진행되는 동안에 수반되는 다양한 우발 상황과 상황 변화 요소를 고려한 안전확보 및 제반사항에 대한 권한과 책임은 작전통제부대인 육군 50사단이 가진다고 판단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최민희, 축의금 돌려줘도 뇌물"…국힘, 과방위원장 사퇴 촉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