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는 신약개발지원센터 임은주 연구원이 측두엽 뇌전증 관련 신규 인자 발굴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Biomolecules'(IF=5.5)에 게재했다고 3일 밝혔다.
뇌전증은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발작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계 질환이다. 특히 성별과 연령에 상관없이 고루 발병해 전 세계적으로 5천만 명 이상이 이 질환을 앓고 있다.
뇌전증은 뇌신경세포의 특발성 흥분에 따른 과도한 전기적 신호 발생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치료를 위해서는 신경세포 표면 수용체를 차단하거나 그 활성을 저해하는 약물이 개발돼 임상에 적용되고 있지만, 약물 불응성과 부작용으로 치료 효용에는 한계가 있다.
이번 연구에는 임은주 연구원과 경북대 생명과학부 김상룡 교수(책임저자) 연구팀, 한국뇌연구원 김재광 선임연구원(책임저자), 경북대 의과대학 신민상 교수, 그리고 경희대 한의과대학 이석근 교수가 함께 했다.
연구진은 교모세포종에서 처음 보고돼 발암 인자로 잘 알려진 Astrocyte Elevated Gene-1 (AEG-1)이 대뇌 해마 내 과립세포 분산 (GCD, Granule Cell Dispersion) 및 발작 발생 수준을 줄여줄 수 있음을 카이닉산 유도 뇌전증 마우스 모델에서 처음으로 밝혔으며 이를 국제학술지인 'Biomolecules'에 발표했다.
양진영 케이메디허브 이사장은 "여전히 많은 질환이 그 발병 기전을 알지 못해 많은 유병인구가 고통을 받음에도 정확한 치료기술을 개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이번 연구결과가 뇌전증 치료 기술 개발 연구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는 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TK신공항, 전북 전주에 밀렸다"…국토위 파행, 여야 대치에 '영호남' 소환
구미 '탄반 집회' 뜨거운 열기…전한길 "민주당, 삼족 멸할 범죄 저질러"
헌재, 감사원장·검사 탄핵 '전원일치' 기각…尹 사건 가늠자 될까
'탄핵안 줄기각'에 민주 "예상 못했다…인용 가능성 높게 봐"
계명대에서도 울려펴진 '탄핵 반대' 목소리…"국가 존립 위기 맞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