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국가산단 내 '전자파 안전성 평가 지원센터' 설립…소부장 특화단지 시너지 기대

대구 국가산업단지 내 조성 예정인 전자파 안전성 평가 지원센터 조감도. 대구시 제공
대구 국가산업단지 내 조성 예정인 전자파 안전성 평가 지원센터 조감도. 대구시 제공
대구 국가산업단지 내 조성 예정인 전자파 안전성 평가 지원센터 위치도. 대구시 제공
대구 국가산업단지 내 조성 예정인 전자파 안전성 평가 지원센터 위치도. 대구시 제공

대구 국가산업단지에 모빌리티 전자파 장애 평가시스템 인프라가 구축된다. 미래모빌리티 시험·인증 편의성 지원 강화로 관련 산업 성장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대구시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모빌리티 실제 환경 모사 전자파 장애 평가시스템 구축' 사업에 최종 선정돼 국비 100억원을 확보했다고 6일 밝혔다. 향후 4년간 총 사업비 180억원을 투입한다.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이 이번 사업을 주관해 전자파 안전성 평가 지원센터를 신설한다. 참여기관인 대구기계부품연구원과 한국자동차연구원은 기업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모빌리티 상호 간 전자파 간섭이나 외부 전파환경의 노출로 예상하지 못한 성능 이상 및 전자파 장애에 대응해 신뢰성·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자파 평가 장비를 갖춰 중소·중견기업의 시험평가와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해외 수출로 확보를 돕는다.

전기차, 자율주행차의 경우 차량 및 부품 개발 과정에서 전자파 시험·인증을 필수적으로 받아야 한다. 현재 영남권에서 운영 중인 전자파 인증기관은 부산테크노파크가 유일한데, 시험·인증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었다.

이번 사업 선정으로 대구에 전자파 안전성 평가 지원센터를 구축하게 되면 지역 모빌리티 기업들이 적기에 시험·인증을 받고 기술개발에도 속도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도 첨단운전자 보조시스템(ADAS) 전자파 평가, 실제 도심 환경 모사(EME) 시험평가 등 폭 넓은 지원 체계를 갖출 예정이다.

특히 인근에 위치한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주행시험장과 연계해 '전주기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또 대구시가 역점 추진 중인 '모터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사업과 시너지 효과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최운백 대구시 미래혁신성장실장은 "모빌리티 전자파 장애 평가시스템 구축으로 지역의 주력 산업인 모빌리티 분야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적기의 시험·인증 지원으로 지역기업이 해외시장 진출에 어려움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시제공
대구시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