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에도 감염병 관리에 대한 자원 투자가 잘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의 감염병관리기관의 숫자는 최근 1년 사이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고 이마저도 수도권에 몰려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4일 질병관리청과 국립중앙의료원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말 기준 전국 감염병관리기관은 2023년 3분기(277곳)보다 42.6% 줄어든 159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 유행이 감소하면서 2022년 1분기 411곳에서 2023년 1분기 282곳으로 줄어드는 등 계속 줄어드는 추세다.
감염병관리기관은 감염병예방법에 따라 보건복지부 장관, 질병관리청장, 시·도지사 등이 지정한다. 이들은 기존 지정 기관만으로 감염 환자를 모두 수용하기 어려울 경우 다른 의료기관을 감염병관리기관으로 지정하거나 격리소 등을 설치할 수 있다.
특히 경북권의 감염병 관련 의료자원이 가장 부족한 것으로 확인됐다.
감염병관리기관 내 감염내과 전문의 수는 총 139명으로, 권역별로 봤을 때 수도권에 절반 이상인 79명(56.8%)이 몰렸고, 경북권에는 단 4명(2.9%)만 있었다. 그나마 4명이 모두 대구에 있고 경북도에는 1명도 없었다.
호흡기내과 전문의(총 218명)도 수도권(102명)이 최다, 경북권(8명)이 최소였고, 소아청소년과 감염분과 전문의(총 28명) 수도권(15명)이 1위, 경북권(1명)이 꼴찌였다.
감염병관리기관 내 중환자 치료를 위한 시설도 경북권에 유독 부족했다.
전국 인공호흡기는 총 4천156대로, 경북권에는 가장 적은 176대(4.2%)만 있었다. 인공심폐장치(에크모·ECMO)도 총 236대 중 경북권에는 9대(3.8%)만 있었다.
질병청과 국립중앙의료원 연구진은 "감염병 유행 상황을 대비해 감염병관리기관의 의료 대응 역량 파악이 중요하다"며 "감염병 위기 시 기관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면 지역 간 자원 분포의 차이에 따른 의료 공백을 해소하고, 급증하는 의료 수요에 대비해 지역 내 감염병 전파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수도권 주요 거점을 1시간 경제권으로 연결"
[단독] 국민의힘, '한동훈 명의 당원게시판 사태' 덮었다
안철수 "한덕수는 출마 포기, 김문수·한동훈은 결단해야"
26명 목숨 앗아간 경북 산불 피의자 2명 구속영장 기각
문형배, 尹 파면 후 "대통령·국회 갈등 해결 방도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