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 넘은 앙숙의 물리적 충돌에 국제사회가 긴장하고 있다. '사실상 핵보유국'인 인도와 파키스탄이 7일(현지시간) 포격을 주고받은 탓이다. 6년 만의 충돌이다. 두 나라의 화약고 카슈미르에서다. 영유권 분쟁으로 장기간 싸워온 터다. 이전까지 국지적 충돌은 적잖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충돌이 격화될 조짐이다. 지난달 있은 총기 테러 사건에서 촉발된 대치가 전면전으로 이어질지 국제사회의 이목이 쏠린다.
◆총기 테러가 촉발한 물리적 충돌
6년 만의 충돌은 지난달 22일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 휴양지 파할감 인근에서 관광객 등을 상대로 한 총기 테러에서 비롯됐다. 26명이 숨지고 17명이 다친 사건이었다. 인도는 '카슈미르 저항운동'의 소행으로 단정했다. 인도령 카슈미르가 파키스탄에 편입되거나 카슈미르 전역이 하나의 국가로 독립해야 한다고 요구해온 조직이다. 배후에 파키스탄이 있는 것으로 본 인도는 1957년 파키스탄과 맺은 '인더스강 조약'을 깼다. 파키스탄 경제와 생활의 젖줄인 인더스강 물줄기를 상류에서 막은 것이다. 파키스탄은 선전포고나 마찬가지라며 핵 공격 가능성까지 들먹이면서 반발했다.

후속 조치로 인도는 일명 '신두르 작전'을 감행했다. 7일(현지시간) 새벽 인도군이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내 테러리스트들이 사용하는 기반 시설 등 9곳을 정밀 타격했다. AF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파키스탄군은 인도의 공격으로 민간인 26명이 사망하고 46명이 다쳤다고 주장했다. 인도 경찰은 파키스탄 포격으로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10명이 사망했으며 부상자는 48명이라고 밝혔다. 종합하면 7일 오후 4시 기준 양국의 사망자 수는 36명, 부상자는 94명이다. 양국은 이후로도 사실상의 국경선인 실질통제선(LoC, Line of Control) 곳곳에서 교전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사상자는 이보다 더 늘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印·파 오랜 분쟁지역, 카슈미르
인도·파키스탄 교전의 중심에는 두 나라 모두 영유권을 주장해온 카슈미르가 있다. 히말라야산맥과 연결된 산악지대 카슈미르는 중국,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과 지리적으로 가까워 전략적 중요도도 높은 곳이다. 여기에 종교와 민족도 얽혀 있다. 군사적·외교적 분쟁이 끊이지 않았던 배경이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1947년 영국에서 독립한 직후부터 카슈미르 영유권 문제로 수차례 전쟁을 벌인 바 있다. 독립 당시에도 카슈미르 지역 주민은 친(親) 파키스탄계인 무슬림이 다수였으나 지배층은 대부분 친(親) 인도계인 힌두교도였던 탓이다. 인도령 카슈미르의 무슬림들은 인도 통치에 불만을 품었다. 인구 약 700만 명 중 무슬림이 약 70%인 인도령 카슈미르에는 파키스탄과 합병 혹은 독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여전히 크다.

6년 전(2019년 2월) 무력 충돌 때도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벌어진 테러가 발단이 돼 양국은 전면전 직전까지 갔다. 당시 인도령 카슈미르 풀와마 지역 자살폭탄 테러로 경찰 40여 명이 숨지자 인도가 파키스탄 내 '테러리스트 캠프'를 공습하면서 공중전 등 군사 충돌이 빚어졌다. 인도는 파키스탄이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으로 끊임없이 테러리스트를 보내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향후 확전 가능성은?
국제사회는 사실상 핵보유국인 두 나라의 확전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스테판 두자릭 유엔 사무총장 대변인은 성명에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이번 사태에 매우 우려하고 있고 최대한의 군사적 자제를 촉구했다며 "세계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군사적 대립을 감당할 수 없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과거의 일들에 비춰볼 때 뭔가 벌어질 것이란 걸 사람들도 알았던 것 같다"며 "두 나라의 충돌이 매우 빨리 끝나기를 바랄 뿐"이라고 했다.
다행스럽게도 대규모 전면전으로 확대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두 나라 모두 사실상 핵보유국이라는 점이 오히려 서로에게 '심리적 억제력'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국제사회의 승인 없이 핵무기를 보유한 인도와 파키스탄은 이스라엘 등과 함께 '사실상 핵보유국'으로 분류된다.

무엇보다 양국 정치권이 확전에 매달릴 여유가 없다. 파키스탄은 대규모 인프라 투자로 대외 부채에 시달리다 2020년 코로나19와 2022년 대홍수 등으로 최악의 경제난에 빠진 상태다. 인도도 다르지 않다. 인도는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에 따른 경제적 충격 회복에 신경을 집중해야 할 상황이다.
댓글 많은 뉴스
[정진호의 每日來日] 한 민족주의와 두 국가주의, 트럼프 2기의 협상카드는?
홍준표, 尹·한덕수 맹공 "김문수 밀어줘 나 떨어트리더니…"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
'이재명 파기환송심' 대선 이후로 연기…"6월 18일"
김문수-지도부, 단일화 사분오열…국힘, 대선 포기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