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우크라·러, 전쟁발발 후 첫 직접협상…종전 중대 분수령

푸틴의 '시간벌기'가 미·러·우 3자 정상회담 가능성으로 확대
푸틴 참석 가능성은 크지 않을 듯…양국 시각차 해결도 과제

푸틴 러시아 대통령. 연합뉴스
푸틴 러시아 대통령. 연합뉴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연합뉴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연합뉴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약 3년 만에 직접 만나 휴전을 논의한다. 전쟁 당사국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중재국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까지 회담에 참여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3자 정상회담이 성사되면 러-우 전쟁의 향방을 가를 중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양국 대표단은 15일(현지시간)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평화협상을 벌인다. 양국 직접 협상은 2022년 6월 이후 처음이다. 이번 협상에는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스티브 위트코프, 키스 켈로그 특사 등이 협상 중재자인 미국 측 대표단으로 합류한다.

이번 평화협상의 발단은 11일 푸틴 대통령의 제안이었다. 전날 영국, 프랑스, 독일, 폴란드 등 유럽 4개국이 추가 제재 가능성으로 '30일 휴전'을 압박하자, 당사국 직접 협상을 제안했다. 그러나 젤렌스키 대통령이 다시 정상회담 역제안으로 되받아치면서 판이 커졌다. 여기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참석까지 요청하고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도 협상장에 직접 등판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중동 순방 중인 트럼프 대통령이 거리상 멀지 않은 튀르키예로 이동할 가능성을 직접 시사하기도 했다. 최근 우크라이나 쪽으로 미묘하게 우호적인 언행을 보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한다면 푸틴 대통령에게는 상당한 압박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푸틴 대통령은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 여전히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푸틴 대통령이 참석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푸틴 대통령에게 우호적인 한 정치 분석가는 WP에 "푸틴과 젤렌스키의 대면 회담이 열릴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푸틴이 이스탄불에 올지는 트럼프에 달렸다. 또한 트럼프가 젤렌스키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져줄지에 달렸다"고 말했다.

회담이 성사된다 해도 양국의 의견차가 좁혀질지는 미지수다. 푸틴 대통령은 ▷현 전시 상황서 영토 인정 ▷우크라이나 나토 가입 금지 ▷크림반도 러시아 영토 인정 등 요구사항을 우크라이나에 들이밀 가능성이 크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